산업



동반위 "韓 100대 기업 절반, '공급망 ESG 공시' 안한다"

동반위, 100대 기업 '공급망 ESG 관리 공시 수준' 조사
공급망 리스크 평가·관리 부족…기본적 ESG 관리 양호

 

[파이낸셜데일리 송지수] 국내 매출 상위 100대 기업 2곳 중 1곳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공급망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공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반성장위원회는 국내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 대상 '공급망 ESG 관리 공시 수준' 조사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 100대 기업 중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공급망 ESG 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공시한 기업은 5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망 ESG 관리에 대한 기업의 관심은 높지만 여전히 절반 가까운 기업이 관련 내용을 공시하지 않는 것이다.

이번 조사는 동반위와 대신경제연구소가 함께 2024년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자율 공시한 국내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동반위 공급망 ESG 관리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공급망 관리 정책 수립', '파트너사 ESG 리스크 관리' 등 13개 프로세스를 기준으로 기업의 공급망 ESG 관리 수준을 평가하는 25개 체크리스트를 활용해 공시율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국내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의 공급망 ESG 13개 프로세스 공시율을 분석한 결과, 기초적인 ESG 관리 활동은 비교적 잘 수행되고 있지만, 리스크 평가 및 관리 체계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규범 제정'(84%), '파트너사 체크리스트 개발'(82%), '파트너사와 소통·지원'(68%) 등은 공시율이 높았으며 이는 기업들이 기본적인 ESG 관리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ESG 리스크 관리'(20%), '위험군 파트너사 식별'(30%), '파트너사 ESG 관리 성과 종합분석'(25%) 등은 공시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공급망 리스크 평가 및 관리 체계를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공급망 ESG 관리 수준을 평가한 25개 체크리스트를 분석한 결과 파트너사의 ESG 리스크를 식별·관리하고 시정조치를 수행하는 역량이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 조사됐다.

거래관계를 맺고 있는 파트너사의 ESG 리스크 식별시스템(11%), 식별 프로세스 가이드 제정(35%), 위험군 파트너사 식별절차 보유(30%), 고위험군 파트너사 CAP(시정조치계획) 관리시스템(17%) 등 전반적으로 공급망 리스크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이 부족한 상황이다.
 
또 중장기 로드맵 수립 공시율이 20%에 그쳐, 공급망 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과 실행 가능성에 대한 공시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는 국내 기업들이 '그린워싱', '인권 보호', '안전 문제' 등 다양한 리스크를 인식하고 있지만 중·장기적 관점에서 리스크 관리와 공시 투명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고 동반위는 설명했다.

안상희 대신경제연구소 센터장은 "100대 기업의 공시 수준은 우리나라 ESG 경영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라며 "기업들은 공시 비율이 비교적 낮은 공급망 리스크 관리에 더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