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중국문화원 위해시 문화방송신문 출판국공동 주최로 ‘아름다운 웨이하이 미술작품 전시 브로슈어’가 2일부터 16일까지 주한중국 문화원에서 열린다. 사진은 위해시문화신문출판국 우신건 부주석과 주한중국문화원장 스뤼린 원장 등 관계자들이 관람 하고 있다.
문화재청과 한국문화재재단이 문화유산 축제 ‘궁중문화 축전’ 프로그램의 하나로, 한복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한 ‘한복사진 공모’전을 개최한다.다음달 11일까지 진행되며 ‘한복 나들이’를 주제로 한복의 아름다움과 맵시를 표현한 사진이라면 응모 가능하다. 1인 응모작품 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규격에 맞는 사진(용량 10MB 이하, 확장자 JPG)을 신청서와 함께 전자우편(2016hbphoto@naver.com)으로 보내면 된다. 신청서는 문화재청 누리집(www.cha.go.kr 새소식-행사)에서 내려 받아 사용하면 된다.흥미, 구도, 포즈, 한복 맵시, 창작성 등에 대한 전문가 심사를 거쳐 ▲대상 1점(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상금 150만원 ▲최우수상 2점(문화재청장상) 상금 각 100만원 ▲우수상 2점(궁중문화축전 추진위원장상) 상금 각 50만원 ▲장려상 2점(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상) 상금 각 30만원 ▲ 가작 43점(5만원 상당 문화상품권) 등 총 50명의 수상자를 선정한다.심사결과는 4월18일 문화재청 누리집(www.cha.go.kr)과 궁중문화축전 누리집(www.royalculturefestival.org)을 통해 발표되며, 수상작 50점은 궁중문
경기 안산시는 30일 성포동 단원미술관에서 단원 김홍도(1745~1806년)의 화조도(花鳥圖) 진본을 공개한다고 25일 밝혔다.시는 화조도 진본을 공개하며 전문가 설명회도 진행한다.이번 공개·설명회는 시가 지난 16일 경매(낙찰가 7000만원)로 구입한 김홍도의 화조도 진본(이름은 없음)을 시민들에게 소개하고 작품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화조도는 수묵담채화(크기 32.5×23.8㎝)로 나뭇가지 위에 앉아 있는 새를 그린 것으로, 종이 우측 하단에 '방림량필'(倣林良筆·임량의 그림을 모방)이라는 글이 써있다. 시는 또 2009년 공매(3억원)로 구입한 김홍도의 풍속화 '사슴과 동자'도 함께 공개한다. '사슴과 동자'(크기 145×85.5㎝)는 국보급 작품으로 사람과 함께 동물, 자연이 하나의 화폭에 담겨 인물화와 산수화에 능한 김홍도의 솜씨를 한눈에 볼 수 있다.시 관계자는 "안산을 단원의 도시로 만들기 위해 김홍도의 작품 전시를 다양하게 하고 있다"며 "시민들에게 단원의 그림 진본을 전시하기 위해 화조도를 구입했다"고 말했다.이어 "진본에서는 영인본(복제된 작품)에서 볼 수 없었던 김홍도의 작품성을 더욱 사실적으로 느낄 수 있을 것"이라며 했다.
음반이나 음악영상물 관련 업자들이 음반 등의 판매량을 올릴 목적으로 해당 음반을 부당하게 구입하는 '음원 사재기' 행위가 법적으로 규제된다.문화체육관광부(장관 김종덕)는 음반 사재기 행위를 금지하는 근거를 마련하고 문체부와 시·도지사가 음반의 건전한 유통질서를 위해 관련 업자에게 필요한 명령 등의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음악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이 지난 26일 국회 법사위 전체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음원 사재기'란 음원 차트 순위 조작 또는 저작권사용료 수입을 목적으로 저작권자 또는 저작인접권자가 해당 음원을 부당하게 구입하거나 전문 업체·기타 관련자가 해당 음원을 부당하게 구입하도록 하는 행위다. 음반 차트 순위는 특히 소비자의 구매선택과 음반으로 파생되는 추가적 이익에 큰 영향을 준다. 이런 상황에서 조직·인위적 개입에 따른 음원 사재기가 있을 경우, 음반·음악영상물 시장의 건전한 유통질서가 왜곡될 개연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온다.그간 음원 사재기 이슈는 음악 산업계 안팎에서 문제로 지적돼왔다. 하지만 현행법상 처벌의 근거가 없어 수사나 단속조차 제대로 이뤄질 수 없었다. 공공연한 비밀로도 통한다. 수차례 의혹이 불거졌으나 브로커가 서버를 해외에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민체육진흥공단이 재정·후원하고 한국기원이 주관하는 '2016 다문화가정 및 소외계층(노인·보육원·장애인) 무료지원 바둑보급'사업에 함께 할 바둑교실(공공시설 등)과 강사를 모집한다. 참가를 희망하는 바둑교실(공공시설 등)과 강사는 마감일까지 서류를 접수해야 한다. 다문화가정 바둑교실의 신청마감은 3월2일이며 소외계층 바둑교실은 3월7일이 마감이다. 2016 다문화가정·소외계층 바둑보급사업은 4~11월 전국적으로 진행된다.
대한출판문화협회가 27일 오후 5시 서울 삼청동 출판문화협회에서 '삼청동 북 콘서트'를 개최한다. '내 인생의 맛'을 주제로 한 이번 달 테마도서는 '인생의 맛'(앙투앙 콩파뇽 지음·장소미 옮김·책세상)이다. 프랑스의 사상가 겸 철학자 미셸 드 몽테뉴의 인생에 대한 고찰과 견해, 통찰을 담아 펴낸 '수상록'을 콩파뇽이 40개 키워드로 풀어 이야기한 인생철학서다.이진일 교수(성균관대 사학)가 사회를 본다. '인생의 맛' 에서 4가지 키워드를 뽑아 관객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몽테뉴의 '수상록'을 통해 무엇을 말하고자 했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볼 예정이다.이날 콘서트에서는 해금연주자 허윤재와 피아니스트 박부자가 협연한다. '문 리버(Moon River)' '오버 더 레인보(Over the Rainbow)' '하얀등대' 등 친숙한 연주곡을 한국전통악기와 서양악기로 들려준다. '삼청동 북 콘서트'는 매달 마지막 주 토요일 오후 5시 출판문화협회 4층 강당에서 무료로 열린다.
재즈계의 전설 냇 킹 콜(1919~1965)의 '어텀 리브스(Autumn Leaves)'를 연주하는 바이올린 여제' 정경화(67)의 바이올린 선율에 자유로움과 날카로움이 한껏 벼려졌다. 재즈스타 나윤선(47)의 리드미컬하게 흥얼거리는 스캣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면서 정경화의 얼굴에 웃음이 번지고, 몸짓에 흥이 깃들었다. 25일 밤 강원 평창 알펜시아 리조트 콘서트홀에서 펼쳐진 '2016 평창 겨울음악제'의 오프닝 콘서트인 '재즈 플러스' 무대에서 정경화가 바이올린 인생 60년 만에 처음 재즈에 도전했다. '어텀 리브스'의 시작은 정경화의 클래식한 바이올린 선율이었다. 이어 옥타브 뿐만 아니라 정해진 음정의 화음을 생성하는 하모나이저(harmonizer)를 통한 나윤선의 다채로운 목소리가 보태지고, 나윤선과 9년째 호흡을 맞추는 기타리스트이자 '나윤선 콰르텟' 멤버인 스웨덴 출신 울프 바케니우스의 기타 소리가 보태지면서 점차 재즈의 옷을 입어나갔다. 나윤선의 본격적인 재즈 보컬이 더해지는 가운데 정경화의 바이올린도 재즈의 색을 마음껏 걸치고, 음과 음 사이를 자유롭게 유영했다. 이 곡이 끝난 뒤 나윤선이 "정경화 선생님이 계속 재즈를 해야 한다"고 말하자 정경화
원추의 '오늘의 운세' 2016년 2월26일 금요일 (음력 1월19일·무인)▶쥐띠 = 추진력과 구상력이 뛰어난 사람. 남자는 애정에 자신감과 진실이 있어야겠고 여자는 사랑에 욕심이 너무 많아서 항상 허전하고 뭔가가 부족한 면이 있다. 철재나 설계·인테리어·상업적에 길운이 있다. ▶소띠 = 내 것도 남에게 빼앗기고 내일도 못하면서 남의 일에 길할 수. 부모와 갈등은 삼갈 것. 4·7·12월생 투기를 조심하며 ㄱ·ㅂ·ㅊ성씨는 새로운 것에 도전하게 될 것이다. 철강·섬유·요식계 기대해볼 한해가 되겠다.▶범띠 = 자신의 마음과 가정을 정리하며 새 출발할 한 해가 되겠다. 슬픔과 고독은 마음에서 오는 것이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과 용기가 필요하며 다른 일에 관심을 갖고 추진하면 좋겠다. 금년에는 인과관계에 신경 써야 한다. ▶토끼띠 = 하던 사업 진행하며 새로운 사업도 할 것이다. 그 일은 부부가 함께할 것이지만 욕심은 내지 말 것. 4·7·10월생은 사랑하는 사람에게 관심을 갖고 사람의 행운이 오는 해이다. 자녀관계로 고심하겠으나 큰 걱정은 안 해도 된다.▶용띠 = 답답했던 속사정이 풀리는 해가 될 것이다. 자금이 부족한 격이었으나 매매건 해결되고 사랑하는 자가 도
스위스 명문 학교 관계자들이 참가하는 교육·유학 박람회가 열린다.강남 메가스터디학원은 오는 27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본원 7층에서 ‘2016 스위스 교육·유학 박람회’를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스위스의 대표 호텔학교와 50개국 이상의 국제학생들이 재학하고 있는 국제학교 관계자들이 1:1 진학 상담을 통해 스위스 국제학교·호텔경영·비즈니스 교육 프로그램 등을 자세히 안내할 예정이다. 호텔학교는 BHMS 비즈니스 및 호텔경영 학교(B.H.M.S. Business Hotel Management School), 스위스 IMI 경영대학교(IMI University Centre Switzerland), 로잔호텔스쿨(EHL·EcoleHoteliere De Lausanne), SSTH 호텔학교(SSTH·Swiss School of Tourism and Hospitality)가 함께한다.국제학교는 레장 아메리칸 스쿨(Leysin American School), 뤼체움알피눔추오츠(Lyceum AlpinumZuoz), 타시스 국제학교(TASIS·The American School In Switzerland) 등이 참가한다. 박람회 관계자는 “전 세계의 학생들이
관훈클럽신영연구기금(이사장 김창기)은 2016년도 상반기 언론인 저술·번역 출판 지원 대상자 6명을 선정했다.▲주영재(경향신문 비즈팀 기자) 사라진 일자리는 다시 돌아올까? ▲김용철(한겨레 디지털부문 디지털뉴스팀 부장대우) 디지털 시대, 뉴스 제목달기 ▲음성원(한겨레 지역에디터석 기자) 오래된 도시의 딜레마 ▲정혁훈(매일경제 영문뉴스부 부장) 중국 이해 입문서-한국인이 꼭 알아야 할 중국 ▲윤춘호(SBS 특임부장) 대장촌의 일본인 지주들 ▲장경수(전 KBS 라디오뉴스팀 국장) 대통령 레토릭을 해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