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데일리 김정호 기자] 편의점, 마트 등에서 간편하게 구입할 수 있는 즉석커피 제품 유형과 종류에 따라 카페인, 당류 및 포화지방 함량 차이가 커 구입 시 영양성분을 확인하고 섭취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은 소비자에게 합리적인 상품 선택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아메리카노와 라떼 즉석 커피 23개 제품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24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아메리카노 커피의 카페인은 100mL당 평균 34mg, 라떼 커피는 36mg로 유사한 수준이나 디카페인 커피는 3mg으로 아메리카노와 라떼 커피의 약 8% 수준이어서 카페인 함량이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1개당 카페인은 바리스타룰스 콜드브루 블랙(매일유업㈜) 제품이 150mg으로 가장 많아 카페인 최대 1일 섭취권고량(성인 기준 400mg)의 38%였다. 반면 콘트라베이스 디카페인 블랙(롯데칠성음료㈜) 제품은 가장 적은 4mg으로 최대 섭취권고량의 1% 수준이었다.
당류 함량과 관련, 라떼 커피의 당류는 100mL당 평균 7.2g으로 평균 3.7g인 스위트 아메리카노 커피보다 약 1.9배 많았다.
스위트 아메리카노를 제외한 아메리카노 커피에서는 시험대상 10개 제품 중 9개 제품에서 당류가 검출되지 않았으나 아카페라 아메리카노(㈜빙그레) 제품은 제품 1개당 당류 6g이 들어 있어 구입 시 영양성분 표시를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고 한국소비자원은 설명했다.
영양성분 중에서 포화지방은 제품별로 함량 차이가 컸는데 라떼 커피의 포화지방은 1~5.1g으로 제품 1개를 마실 경우 1일 영양성분 기준치(15g)의 7~34%를 섭취하게 된다.
이와 관련, 스타벅스 카페라떼(서울우유협동조합) 제품은 포화지방이 5.1g으로 가장 많았고 홈플러스스그네쳐 디카페인라떼(홈플러스㈜) 제품은 1g으로 가장 적었다.
포장재 재활용을 위한 재질 · 구조 등급 역시 제품별 차이가 있었는데 전체 23개 제품 중 5개 제품은 `재활용 우수', 8개 제품은 `재활용 보통', 10개 제품은 `재활용 어려움'으로 제품별 재활용 등급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일부 제품은 온라인 정보 표시의 개선이 필요했는데 동서식품㈜, 서울우유협동조합, ㈜빙그레, 남양유업㈜)는 한국소비자원의 권고를 수용해 개선 계획을 회신해 왔다고 한국소비자원은 전했다.
한편, 한국소비자원은 앞으로도 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식품에 대한 품질, 안전성 정보와 더불어 자원순환을 위한 환경성 정보를 소비자24에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