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美증시 지난해 대선 이후 최대폭 하락…다우·S&P·나스닥 모두 1% 이상↓

이른바 '트럼프케어(AHCA, 미국건강보험법)를 둘러싼 미국 정가의 갈등과 이에 따른 세금개편안 등 친 성장정책의 지연 우려로 미국 증시의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가 지난해 대선 이후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21일(현지시간)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37.85포인트(1.14%) 하락한 2만668.01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9.45포인트(1.24%) 내린 2344.0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07.70포인트(1.82%) 낮은 5,793.83에 장을 마감했다.

CNN방송은 이날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가 지난 대선 이래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하는 등 지난해 9월 이후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케어' 시행이 지연될 경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약속했던 세금개편안 등 성장정책의 시행도 늦어질 것이라는 투자자들의 판단이 증시 위축을 불러온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는 유틸리티가 1.4% 오른 것 외에 전업종이 하락했다. 금융업종이 가장 큰 2.8%의 하락폭을 기록했다. 산업과 소재, 기술 등도 1% 넘게 내렸다.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의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10.85% 상승한 12.57을 기록했다.

개장 전 발표된 미국의 지난해 4분기(2016년 10~12월) 경상수지 적자는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 상무부는 21일 지난해 4분기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전분기 대비 3.1% 감소한 1124억 달러(약 125조77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2015년 2분기 이후 가장 낮은 규모다.

또한 월스트리트저널(1290억 달러), 로이터통신(1282억 달러) 등 시장이 예상한 4분기 경상수지 적자 전망치보다 훨씬 낮은 규모다.

2016년 전체 경상수지 적자는 GDP 대비 2.6%인 4812억 달러(약 538조4600억 원)로 집계됐다. 이는 2015년 4630억 달러보다 3.9% 증가한 액수다. 그러나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수지 적자 비율은 2015년과 2016년 모두 2.6%를 기록했다.

미국의 4분기 경상수지 적자는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의 2.4%에 해당한다. 미국의 지난해 3분기 경상수재 적자는 GDP 대비 2.5%에 달했었다.

지난해 3분기 경상수지 적자는 당초 1130억 달러에서 1160억 달러로 상향 수정됐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