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이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2%에서 2.1%로 0.1%포인트 낮췄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8일 'KERI 경제전망과 정책과제 : 2016년 4/4분기' 보고서에서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9월 내놨던 2.2%에서 2.1%로 하향 조정했다고 18일 밝혔다.
한경연은 "세계경제전망 불확실성이 커지고 대내 정책의 경기부양 여력이 약화하면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인 2.4%보다 0.3% 포인트 가량 낮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대외적으로는 트럼프의 자국 중심주의 정책 추진, 프랑스 대선(4~5월), 독일 총선(9~10월) 등으로 인한 극단주의 정당의 약진 가능성으로 글로벌 교역 부진이 지속할 것으로 분석했다.
더불어 재정적자 누적으로 인해 국가부채가 많이 늘어난 상태에서 세계경제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재정정책의 역할도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대내적으로는 통화, 재정, 환율 등 정책 수단의 운신이 제한돼 성장률 하락이 불가피하다고 예상했다.
소비자물가는 올해 1.0%, 내년 1.2% 증가에 그치며 저물가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흑자 축소, 서비스 적자 확대의 영향으로 올해 975억달러, 내년 935억달러로 흑자 규모가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원·달러 환율은 내년에 평균 1152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트럼프 당선, 유럽 정치 불안 등의 영향으로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서 내년 상반기까지 상승하다가 하반기에는 점차 하락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재정확대 정책에 따른 미국 금리인상 기조 강화 가능성이 커지면서 우리나라 시장금리(회사채AA-, 3년)도 올해 1.9%에서 오는 2017년 2.3%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