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이제 노사정 합의만 맥놓고 기다릴 수 없다"며 "노사정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당과 정부는 청년들의 절망과 비정규직의 고통 해소를 위해 노동개혁을 위한 조치를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원 원내대표는 "지난 1년간 수차례의 협의와 토론을 거치며 모든 쟁점들이 논의됐고 대부분 과제에 의견이 모아져 남은 건 노사 결단 뿐"이라면서 "오늘이라도 노사 모두 꽉 쥐고 있는 기득권을 과감히 내려놓고 대타협의 기적을 연출해주길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서도 "노사정위에서 타협안이 나오길 학수고대하고 있다. 그렇다고 마냥 기다릴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14일 당정 협의하고 16일엔 정책의총을 개최할 예정이다. 필요한 입법 조치를 하기 위한 의원들의 의견을 모아 당론으로 추진할 예정"이라며 이번 주말까지 노사정 대타협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일방 처리 수순으로 갈 수밖에 없음을 강조했다.
김정훈 정책위의장도 "14일 당정 협의를 갖고 근로기준법과 파견근로자보호법, 기간제법, 고용보험법, 산재보험법 등 5개 노동개혁 법안을 조율할 예정"이라며 "정책 의총에서 5개 법안 의견 수렴을 거친 뒤 이번 정기국회에서 입법을 마무리하고자 한다"고 가세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이어 "노동개혁을 위한 대타협이 늦어지면서 일자리 문제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노동시장의 구조적 문제가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있다"며 "노동개혁은 아버지 세대에게는 더 오래 일할 기회이고 자식세대에게는 새 일을 할 수 있는 기회다. 노동개혁의 열매를 맺을 때가 됐다"고 노동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에대해 새정치연합 이종걸 원내대표는 확대간부회의에서 "정부가 노동계를 압박하고 있다. 최 부총리는 입법 절차에 돌입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놨다"며 "단 시간에 해결하려는 정부의 일자리 정책은 결국 재앙과 같은 결과만 낳을 것"이라고 반발했다.
이 원내대표는 또 "난데없는 최경환 경제부총리의 협박 발언은 노동시장에 좋은 것이 아니다"라고 최경환 부총리를 비판했다.
이어 "최 부총리와 정종섭 장관의 선거개입 발언은 헌정 질서를 무너뜨린다"며 "대통령과 새누리당이 감싸고 있다. 국기 문란 행위를 좌시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김성수 대변인도 현안 브리핑을 통해 "정부의 일방적 노동개혁 입법추진은 노동계에 대한 협박"이라고 질타했다.
김 대변인은 "노동계의 입장은 조금도 반영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노동자의 희생만을 강요하는 정부의 행태는 참담하다"며 "정부가 설득과 사회적 합의는 형식이고 명분일 뿐이었고, 노사정위를 정부의 뜻을 강제하기 위한 명분 쌓기용으로 삼아왔음이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의 처사는 야당은 물론 여당마저 무시한 처사로 새누리당이 정부안을 처리하자고 나선다면 스스로 청와대 이중대를 자인하는 꼴"이라며 "새정치연합은 노동계의 반대를 무릅쓴 정부의 일방적 입법 추진을 묵과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한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