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작년 국내 금융사 장외파생상품 GDP 9배...거래규모 1경8천조원

금융사 통화·금리 위험관리用...전년도보다 거래규모 6% 넘게 증가

 

[파이낸셜데일리 박목식 기자] 지난해 국내 금융사들의 장외파생상품 거래 규모가 1년 사이 1127조원(6.6%) 늘어난 1경8146조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명목 국내총생산(GDP·2057조원)의 9배에 달한다.

 

금융감독원은 25일 “지난해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라 대외무역 규모가 증가하고 대내외 금리 상승 기조에 따라 금리 변동성이 높아지면서 기업과 금융회사의 통화·금리 관련 헤지(위험회피) 수요 증가로 장외파생상품 거래도 증가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파생금융상품이란 통화나 채권, 주식 등 기초금융자산 가격이 변동에 따라 수익과 손실이 결정된다. 선도계약, 선물, 옵션, 스와프 등이 있으며 장내에서는 통상 차입을 통해 배수를 올리는 지렛대 효과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익성도 위험성도 매우 높다.

 

반면 금융사나 기관투자자는 주식, 채권, 통화 등 기초자산 변동에 따른 가격이나 신용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장외파생상품을 이용하며, 은행을 중심으로 통화 관련 파생상품과 금리 관련 파생상품을 중심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지난해 장외파생상품 거래의 75.9%는 통화 관련 거래로 1경3776조원이었으며, 금리 관련 상품은 4117조원(22.7%), 주식 관련 상품은 194조원(1.1%), 신용 관련 상품은 18조원(0.1%)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장외파생상품 전체 거래 잔액은 1경1305조원이었다. 전년도보다 1천70조원(13.8%) 늘어난 수치다.

 

잔액 가운데 이자율 관련 거래는 6984조원(61.8%)으로 가장 비중이 컸다.

 

이어 통화 관련 거래 4150조원(36.7%), 신용 관련 거래 73조원(0.6%), 주식 관련 거래 68조원(0.6%) 등 순이었다.

 

거래한 금융권역별로는 은행이 1경4323조원(78.9%)으로 가장 컸고, 증권은 2780조원(15.3%), 신탁은 875조원(4.8%) 이었다.

 

한편 당국은 지난해 4월부터 거래정보저장소(TR)를 가동해 장외파생상품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있다.

 

비청산 장외파생상품 거래 증거금 교환제도의 적용 대상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중앙청산소에서 청산하지 않는 장외파생상품을 거래할 때 거래당사자 간 증거금(담보)을 미리 교환하도록 하는 제도다.

 

2017년 변동증거금 교환 제도 도입됐으며, 지난해 9월 개시 증거금 교환 제도가 거래잔액 70조원 이상인 금융사부터 적용됐다. 올해 9월부터는 거래잔액 10조원 이상인 금융사로 확대된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