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힙합의 시각화'라고 했다. 앨범을 듣고 있으면, 옴니버스 영화를 감상하는 느낌이 든다고 했다. 힙합 듀오 '다이나믹 듀오' 멤버 개코(33·김윤성)가 데뷔 15년만에 발표한 첫 솔로 앨범 '레딘그레이(REDGRAY)'에 대한 소속사 아메바컬쳐의 설명이다.
영등포CGV의 한 영화관은 그래서 '레딘그레이' 청음회 장소로는 제격이다. 15일 오후 여러 미디어의 대중음악 담당 기자들은 이곳에서 개코의 '음악을 봤다.'
'될 대로 되라고 해' '화장 지웠어' '장미꽃' 세 곡의 뮤직비디오를 보고 음악을 들었다. '될 대로 되라고 해'는 지난해 미리 공개한 싱글이다. '화장 지웠어'와 '장미꽃'은 '레딘그레이'의 더블 타이틀곡이다.
'화장지웠어'는 '핫펠트'라는 이름으로 솔로 앨범을 낸 그룹 '원더걸스' 멤버 예은과 아메바컬쳐 소속 힙합가수 자이언티가 피처링했다. 두 사람은 뮤직비디오에도 나온다. '장미꽃'의 뮤직비디오에는 배우 겸 래퍼 'YDG'로 활약하는 양동근이 출연했다.
예은은 매혹적이고 양동근은 호연하는데 음악이 눌리지 않는다. 영화관은 단지 화면을 보여주기 위한 장식용이 아니다. 입체 사운드는 음악을 감상하는데 더할 나위 없다. '화장을 지웠어'의 솔(Soul) 감성의 유려한 사운드, '로즈'의 비장하면서도 마냥 무겁지 않은 멜로디가 더 살아났다.
'레딘그레이'에는 총 17곡이 실렸다. 9곡, 8곡씩을 2장의 CD에 나눴다. 디지털 싱글이 대세인 현재 대중음악 신에 역류한다. 때문에 개코의 '음악적 고집'이 느껴진다. 아메바컬쳐는 지난해 개코를 비롯해 소속사 가수들이 여러 사건사고에 휘말렸다. 음악에서 파생된 일도 있었으나 그 외의 '가십'도 많았다. 개코는 이 회사의 대표다. 음악에 목 말랐을 법하다. 아메바컬쳐의 노영열 홍보팀 부장은 "음악에 집중해달라"고 했다.
개코는 이날 청음회 이후 진행된 간담회에서 "신인가수라고 해야 하나요"라고 인사했다. 15년 차 가수에 작지 않은 규모를 지닌 회사의 대표인데, 땀을 많이 흘렸다. "개코라는 이름으로 만든 첫 번째 앨범"이기 때문이다. 항상 그의 곁에는 절친한 친구이자 음악적 동지인 다이나믹듀오의 또 다른 멤버 최자가 있었다.
최자가 없는 앨범은 개코의 개인적인 색깔이 또렷해졌다. 기존 다이나믹듀오 앨범은 두 사람이 공감하는 부분이 악보로 옮겨졌다. 그런데 두 번째 CD 2번 트랙 '복수의 칼 2'에는 최자가 목소리를 보탰다. "솔로 앨범인데 최자가 참여하면 어떡하냐는 말도 하시는데 제 생각에 최자는 최고의 친구지만 MC(Microphone Controlle·r래퍼)로서 정말 잘해요. 고백하는 느낌이라 어색하기는 한데. 하하하. 그 곡에 최자의 목소리가 잘 맞을 것 같았어요."
앨범 제목 '레딘그레이'는 개코가 세상을 보는 시각을 상징화한 조어다. 개코가 세상을 보는 회색영역(GRAY)의 시선 그리고 붉은색(RED)으로 정의한 사람들의 잠재된 욕망을 합쳤다.
"선과 악을 쉽게 나눌 수 없잖아요. 저는 흑백이 아닌 중간의 영역을 봐요. 그렇게 세상을 보는 관점을 정리하고 싶었는데 회색이 가장 어울리는 색깔이라고 느꼈죠. 빨간색은 앨범 전반에 흐르는 '인간의 욕망'입니다. 회색 영역 안에 있는 빨간 욕망, 그래서 앨범 제목을 '레딘그레이'로 지었어요."
힙합이라고 '스웨그'(힙합 뮤지션이 잘난 척을 하거나 으스댈 때를 가리키는 용어)'가 가득하지 않다. 가족 이야기를 한 '은색 소나타'가 대표적이다. 소위 중산층을 대변하는 자동차를 제목으로 내세웠다. 은색은 가장 안정적인 선택지다. '고속도로를 달리는 은색 소나타 안 아버지, 어머니, 아들이 한 공간' 안에 있는 모습을 노래했다.
개코는 "1절은 아빠 입장, 2절은 엄마 입장, 3절은 아들 입장"이라면서 "가족 안의 단절된 소통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었다"고 했다. "후렴구에는 그래도 희망을 넣고자 했어요. 오랜시간 고민해서 만들었습니다."
'장미꽃'은 개코와 지난 2011년 결혼한 아내 김모씨를 위한 곡이다. "한 여성에 대한 세레나데"라면서 "가장 가까운 와이프를 생각하면서 만든 노래"라고 쑥스러워했다.
두 번째 CD의 마지막 트랙 '과거는 갔고 미래는 몰라'는 앨범의 결론까지는 아니더라도 전체적인 맥락을 축약하는 곡이다. (흑과 백의) 중간 영역인 회색을 연상케 한다. "사실 예전에 만든 곡이지만, 지금 제 심정을 반영하는 곡이기도 해요. 제 나이 또래의 솔직한 이야기를 풀어내고 싶었어요. 뭐가 '옳다, 그르다'고 판단하기 어렵고, 뭐가 '선인지 악인지' 구분하기도 어렵고. 제가 정체성에 대해 고민한 부분을 솔직하게 풀어냈죠."
'래퍼 개코'로의 정체성으로 이어진다. 스웨그를 뽐내는 다른 래퍼들과 달리 최근, 특히 이번 앨범에서 그는 자신의 일상 또는 주변을 담담히 이야기한다. 사운드는 최신의 그것이지만 그래서 담백하게 느껴진다.
1999년 결성한 힙합그룹 'K.O.D' 멤버로 가요계에 발을 들인 개코는 이후 힙합그룹 'CB매스'를 거쳐 2004년 최자와 다이나믹듀오를 결성하고 1집 '택시 드라이버'를 내놨다. 이후 '링 마이 벨(Ring My Bell)', '고백', '출첵' 등의 히트곡을 내며 힙합계 한축에 이름을 내걸었다.
"(일리네어 레코즈)의 도끼 같이 젊고 실력 있는 친구들이 많죠. 특히 젊은이들의 아이콘인 도끼는 자수성가의 아이콘이잖아요. 어릴 때부터 꿈을 좇아 성공한 래퍼의 모습이죠. 많은 사람들이 그것에 대해 감명 받고요. 그런 상황에서 저는 제 나름대로 제 이야기를 솔직하게 하고 싶었어요. 그래서 많은 고민을 했고, 지금도 많이 하고 있지요. 앞으로도 해나갈 것 같아요."
한편, '레딘그레이'는 16일 온오프라인에 발매된다. 개코는 이름 기념, 17일부터 24일까지 서울 잠원동 신사장에서 전시 '레딘그레이 – 더 웨이브(REDINGRAY – THE WAVE)'를 연다. '음악의 시각화'를 주제로 공간 디자이너 마영범과 컬래버레이션한 결과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