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안실련·손보협회, 오토바이 교통안전 대국민 설문조사 및 운행실태 조사

이륜차 등록제로 전환 및 전면 번호판 필요
운전 중 이륜차 가장 위험, 보행 중 전동 킥보드 가장 위험 인식

 

[파이낸셜데일리 정경춘기자]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공동대표 강호인 외)와 손해보험협회(회장 정지원)는 이륜차 교통안전 대국민 설문조사 및 운행실태 조사를 공동실시하고 이에 따른 분석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조사는 최근 배달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해 이륜차 교통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현재 이륜차 교통문화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안전한 보행문화, 이륜차 문화를 조성하고자 실시되었으며, 설문조사는 20세이상 성인 559명, 운행실태조사는 서울시내 8개 지점 운행 이륜차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이번 조사에서, 국민 10명중 9명 이상은 오토바이(이하 “이륜차”) 전면번호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97%의 국민은 이륜차를 사용신고가 아닌 일반자동차처럼 등록제로 바꿔야 한다고 응답했다.

 

한편, 93%는 이륜차 배달종사자에게 별도의 자격제가 필요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또한, 이륜차 주행실태 조사에서는 이륜차 10대중 4대의 이륜차는 주행 중 법규를 위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법규 위반 이륜차중 62%는 정지선 위반, 10대중 1대의 이륜차는 단속을 위한 번호판 판독이 불가하다는 결과를 보였다.

 

조사결과 전체 응답자 513명 가운데 2명중 1명 이상(285명, 55.6%)은 운전 중 가장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교통수단으로 이륜차를 꼽았고, 이어 전동킥보드가 158명, 30.8%으로 뒤를 이었으며, 가장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이륜차 법규 위반 항목은 차간주행(차로사이로 주행)이 38.4%, 197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신호위반이 184명, 35.9% 순으로 나타났다.

 

보도(인도)로 걸을 때 가장 위험한 교통수단으로는 전체 559명의 응답자중 절반이 넘는 52.1%, 291명이 전동킥보드라고 답했으며, 이어 이륜차가 203명, 36.3%였다.

 

그러나 횡단보도 횡단시에는 이륜차의 횡단보도 주행을 가장 위험하게 꼽았고(316명, 56.5%), 이어 전동킥보드의 횡단보도 주행이었다(205명, 36.7%).

 

또한, 전체 559명의 응답자중 469명(83.9%)은 이륜차 번호판이 잘 보이지 않는다고 응답했으며, 응답자의 거의 대부분인 무려 91.8%, 513명은 이륜차 전면에 번호판을 부착하는 것에 대하여 찬성했다.

 

일반 자동차와는 다르게 이륜차에 대해서는 등록이 아닌 사용신고만으로 운행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 559명중 370명, 66.2%가 모르고 있다고 응답했고, 자동차와 동일하게 이륜차에 대해서도 등록 후 운행하도록 제도개선을 해야 한다는 답변이 전체 응답자의 97.0%(542명)를 차지했다.

 

한편, 이륜차 배달 운전자의 별도 자격(라이센스) 부여에 대해서도 전체 응답자 559명의 93.0%인 520명이 찬성했다.

 

이륜차 배달 운전자의 안전한 운행을 위해서는 자동차등록 시스템 및 번호판 등 이륜차 관련 법·제도개선이 25.7%로 가장 많았고, 이어 빨리 빨리 재촉하지 않는 문화가 21.4%, 안전교육 지원 16.8%, 안전장치 지원 13.7% 순이었다.

 

전체 2,477대의 이륜차 법규 위반 조사에서 전체의 39.4%인 975대가 교통법규를 위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위반건수 1,217건(중복 포함) 중 정지선 위반이 755건(62.0%)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신호위반이 188건(15.4%), 보도주행이 68건(5.6%)이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