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제약



가상융합경제 발전전략 발표…경제효과 30조 달성 목표

세계 5대 가상융합경제 선도국 도약 추진

 

[파이낸셜데일리 = 이정수 기자] 정부는 세계 최고수준의 디지털 인프라를 발판으로 경제사회 전반에 가상융합기술(XR) 활용 확산을 지원하기 위한 3대 세부전략과 12대 과제를 10일 발표했다.

가상융합경제 선도국가 실현을 비전으로, 2025년까지 가상융합경제 경제적 파급효과 30조원 달성, 세계 5대 가상융합경제 선도국 진입을 목표로 세웠다.

▲산업현장에서 사회문제 해결까지 가상융합기술(XR) 활용 전면화 ▲가상융합기술(XR) 필수 인프라 조기 확충 및 제도 정비 ▲가상융합기술(XR) 기업 세계적 경쟁력 확보 지원 등 3대 전략을 마련했다.

우선 국내산업의 강점·특성과 가상융합기술(XR) 활용효과를 고려해 제조, 의료, 건설, 교육, 유통, 국방 등 6대 산업 ‘가상융합기술(XR)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또  지역 주력산업과 연계하여 지역 가상융합기술(XR) 활용·투자 촉진을 지원하는 ‘XR@지역’을 운영하고, 지역 제조기업 대상 생산공정에 가상융합기술(XR)을 활용한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공정혁신 시뮬레이션센터’를 구축·운영한다.

유망 가상융합기술(XR) 중소·벤처기업 정부자금 지원 및 민간투자 확대를 위한 ‘XR 펀드’를 내년 400억원 규모로 조성·운영한다.

고령층·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가 일상생활에서 직면한 문제 중 가상융합기술(XR)로 해결 가능한 포용 서비스를 개발·보급하고, 소상공인 점포의 경영환경 개선을 위해 가상융합기술(XR) 기반 스마트기술(스마트미러, 가상피팅 등) 등 도입도 지원할 방침이다.

특히 어지럼증이 덜하고, 사용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초경량·광각, 저지연 등 AR 글래스 핵심기술 개발에도 집중한다. 또한 국토 데이터 디지털 트윈으로 전국 3차원 지도, 정밀도로지도, 지하공간통합지도를 2022년까지 조기에 구축하고, 국가 지식정보 검색·활용이 가능한 온라인 통합플랫폼인 ‘디지털집현전'에 가상융합기술(XR) 활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5G 엣지컴퓨팅(MEC) 인프라를 활용한 교육·안전·시설 관리 등 공공분야 초저지연 가상융합기술(XR) 서비스를 확산하고,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활용 가능한 ‘5G 실감콘텐츠 오픈랩’도 운영한다.

아울러 정부는 XR 전문기업 성장지원을 통해 2025년까지 매출액 50억원 이상 전문기업 150개 육성할 계획이다. 가상융합기술(XR) 디바이스·부품, 서비스 등 XR 유망기업을 발굴하여 자금 지원부터 실증·사업화까지 全주기로 지원하는 ‘XR 전문기업 육성 프로그램’ 신설을 검토할  예정이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문화예술 분야의 한계 극복을 위한 연극, 미술전시 등 문화예술 5대 분야 가상융합기술(XR) 개발에도 지원한다.

수요맞춤형 가상융합기술(XR) 분야 인적지원 양성에도 집중한다. 타산업 융합형 가상융합기술(XR) 분야 석·박사급 전문인재 양성을 위해 ‘XR 스쿨(대학원)’ 신설 추진을 검토하고,가상융합기술(XR) 관련 기초연구 강화를 위해 XR 분야 대학연구센터(ITRC) 지원 확대를 추진한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가상융합기술(XR)은 데이터(D)·네트워크(N)·인공지능(A)을 기반으로 제조·의료·교육·유통 등 경제사회 전영역에 확산되어 우리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국가산업의 생산성을 혁신할 핵심분야”라며 “정부는 디지털 뉴딜의 중요한 축으로 경제전반을 가상융합기술(XR)로 혁신하는 디지털 대전환을 추진하여 2025년 가상융합경제 선도국가를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