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데일리=이정수 기자] 롯데온(ON)은 AI를 활용해 의류를 기획·제작·유통하는 신규 브랜드를 선보인다고 3일 밝혔다. 롯데온은 "이를 통해 국내에서 새로운 패션 유통 방식을 실험한다"고 했다. 이 브랜드는 '데몬즈'(de MonZ)다. MZ세대 사이에서 디자인에 새로운 감성을 입힌다(M+ON+Z)는 의미를 담았다.
롯데온은 데몬즈를 선보이기 위해 AI 기술과 생산 능력을 가진 스타트업과 힘을 합쳤다. 가장 중요한 디자인은 AI 활용 디자인 전문 스타트업인 '디자이노블'이 맡았다. 생산은 스타트업 '콤마', 유통은 롯데온이 책임진다. 특히 디자이노블이 개발한 AI는 인터넷으로 전 세계 의류 상품의 패턴과 색상·소재 등을 분석해 트렌드를 정리한 후 매 시즌 컬렉션·룩북 등 수백만 가지 자료를 참고해 스스로 반복 스케치 작업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AI는 1초에 1만개 상품 디자인이 가능한 능력을 갖는다. 디자이노블 자체 조사 결과, 72시간 학습한 AI의 판매 예측 적중률은 10년차 상품기획자(MD)에 비해 약 20%포인트 높은 76.8%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온은 데몬즈의 첫 뮤즈(muse)로 래퍼 치타를 선정했다. 롯데온 관계자는 "치타가 방송에서 보여준 당당함, 패션과 예술에 대한 감각 등이 데몬즈가 추구하는 브랜드 감성과 일치했다"고 했다. AI는 치타 삶의 가치관을 상품 디자인에 담아 제품을 만들었다. 치타가 자기 삶과 맞는 이미지들을 AI에 전달하면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하게 되는 것이다. 롯데온은 이렇게 만들어진 구스 다운, 플리스 다운, 후드 및 맨투맨 티셔츠 등 8종 상품을 오는 17일까지 한정 판매한다.
데몬즈는 주문 후 생산을 시작하는 '주문생산방식'을 도입했다. 다품종소량생산을 기반으로 한 주문생산방식은 불필요한 의류 생산을 줄여 친환경 생산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수요 예측과 생산에서 디지털화가 돼 있지 않으면 비용이 많이 들어 기존 패션 업계에서는 도입하기 힘든 방식이기도 하다. 데몬즈는 AI 기술력, 롯데온의 데이터와 물류망을 바탕으로 신속한 생산 및 배송이 가능해 주문생산방식의 새로운 유통 구조 실험에 나선다.
롯데쇼핑 관계자는 "AI 디자이너 체계를 소비자가 제공한 사진 한 장으로 어울리는 옷을 만들어 주는 '나만의 디자인'까지 가능한 수준으로 플랫폼화 할 계획"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