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데일리=강철규 기자] 안일환 기획재정부 2차관은 27일 "기업성장응답센터가 중소기업의 활력을 제고하고 규제혁신의 사각지대를 없애는 계기가 되기를 진심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안 차관은 이날 판교 LH기업성장센터에서 개최된 '공공기관 기업성장응답센터 합동 발대식' 축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기업성장응답센터는 중소기업이 겪는 규제와 고충을 전담해 처리하기 위해 공공기관별로 설치되는 민원 창구다. 현재 125개 기관에서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안 차관은 "공공기관과 중소기업은 서로에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파트너로서 협력과 소통이 무엇보다 중요한 관계"라며 "중소기업 입장에서 공공기관은 정부의 정책사업을 실제 집행하는 사실상 정부"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기업 입장에서 공공기관은 GDP의 3%, 정부 총지출의 11%에 상응하는 55조원 규모의 공공조달을 담당하고 있는 대규모 계약 발주자이자 구매자"라며 "공공기관의 규제혁신과 제도개선이 기업에 중요할 수밖에 없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이어 "공공기관의 입장에서 중소기업은 계약의 상대방, 물품 판매자일 뿐만 아니라 각종 정책사업의 중요한 고객"이라며 "중소기업은 우리나라 기업의 99%, 일자리의 88%를 차지하는 우리 경제의 근간이자 지속성장의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안 차관은 기업성장응답센터 기대효과로 "중소기업은 기업 현장에서 겪는 애로와 불합리한 규제를 언제든지 공공기관과 대화할 수 있는 전용 채널을 갖게 된다"며 "공공기관은 접수된 의견을 기업 입장에서 검토하고 정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 "공공기관은 고객의 목소리를 통해 불합리한 제도 및 관행을 개선해 건강한 조직문화를 만들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며 "정부도 공공기관과 함께 기업이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과 고충을 듣고 이를 정책에 반영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정부 정책의 개선, 법령개정 등 공공기관이 독자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는 정부 차원에서 적극 대응할 계획이며 범정부 차원의 현장 공감형 규제혁신 방안도 지속적으로 마련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