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코레일, '코로나 타격' 지역본부 12→8개 통합…조직개편

"올해 1조 영업손실 예상"…위기극복 차원
차량 정비조직 개편·관리지원조직 슬림화

 

 

[파이낸셜데일리=강철규 기자]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인한 수요 감소 등 경영위기 극복을 위해 전국의 지역본부 3분의 1을 축소하고 현장조직을 최적화하는 내용의 조직개편을 단행한다고 3일 밝혔다.

 

코레일은 코로나19 사태로 열차 수요가 급감하며 영업손실이 상반기 6000억원에 달하고 최근 재확산하는 추세여서 연말까지 약 1조원의 영업손실이 예상되고 있다.
 
코레일은 이에 따라 경영효율화를 위한 지역본부 개편과 현장조직 최적화, 차량 정비기능 강화를 위한 차량 정비조직 전면 개편, 관리지원업무 간소화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현재 12개로 운영 중인 지역본부를 8개로 축소한다. 

 

수도권동부, 충북, 광주, 대구 등 4개 지역본부는 각각 서울, 대전충남, 전남, 경북본부로 통합한다.

 

행정구역과 기능을 고려해, 수도권서부본부는 '수도권광역본부', 대전충남본부는 '대전충청본부', 전남본부는 '광주전남본부', 경북본부는 '대구경북본부'로 명칭을 변경한다. 

 

지역본부 관할범위 확대로 인해 안전에 영향이 없도록 대구, 광주, 제천, 수도권동부 등 4개 지역에는 관리단을 두고 안전관련 기능을 유지할 방침이다.

 

관리역과 소규모 현장조직도 관리범위 등을 고려해 조정하기로 했다. 

 

전국 655개 역을 그룹화해서 운영하고 있는 81개 관리역은 관리범위 등을 감안해 12개 관리역을 조정, 69개로 축소한다.

 

열차 운행횟수, 담당구역 이동거리 등을 고려해 66개 소규모 현장조직을 개편하고, 중장기적으로 스마트유지보수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정비조직도 개선한다. 지역본부 소속의 30개 차량사업소를 4개 차량정비단 소속으로 개편한다. 

 

지역본부(차량사업소)와 차량정비단으로 이원화된 차량 정비기능을 차량정비단으로 일원화해 책임성을 강화한다. 

 

본사를 포함한 관리지원조직도 슬림화를 추진한다. 

 

불필요한 관리지원 업무를 과감히 폐지하고 유사·중복업무를 일원화하는 등 업무 간소화를 통해 관련 인력을 축소키로 했다.

 

코레일은 이번 조직개편으로 인력효율화를 통한 경영 개선, 차량정비역량과 전문성 제고 등 안전 강화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특히 600여명의 인력효율화를 통해 중앙선, 수인선 등 연내 개통되는 노선 운영 및 안전인력 등을 추가 증원 없이 전환 배치할 계획이다. 

 

손병석 사장은 "공사의 미래가 불투명한 위기 상황에서 지역본부 통합 등 조직개편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지상과제"라며 "개편과정에서 많은 고통이 뒤따르겠지만, 과감한 혁신을 통해 철도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얻는 새로운 한국철도로 거듭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