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외식물가 상승률 8개월째 0%대 머물러...

8월 소비자물가동향서 외식물가 0.5% 상승 그쳐
8개월 연속 0%대…2012년 10개월 연속 이후 최장
사회적 거리두기로 외식 수요 바닥…집밥만 늘어

 

 

[파이낸셜데일리=강철규 기자] 올해 들어 외식 물가 상승률이 8개월째 0%대에 머무르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외출과 외식 자제 등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소비가 급감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집안에 발이 묶인 탓에 긴급재난지원금 효과도 장바구니 물가만 끌어올렸을 뿐 외식업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모양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개인서비스 물가 가운데 외식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0.5% 상승하는 데 그쳤다. 

 

외식 물가 상승률은 작년 12월(1.0%)을 끝으로 올해 1~8월 내내 0%대에서 제자리걸음이다.

 

8개월째 0%대 행진은 지난 2012년 5월(0.8%)~2013년 2월(0.9%) 10개월 연속된 이후 8년 만의 최장기록이다. 

 

다만 당시에는 전년도인 2011년 연평균 외식 물가 상승률이 4.3%에 달했던 데 따른 기저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올해의 경우 전년도인 지난해 연평균 상승률이 1.9%에 그쳤기 때문에 사정도 다르다.

 

통계청에서는 최소 1~2%대 정도는 돼야 통상적인 외식 물가 상승률 수준이라고 본다. 

 

최근 연평균 외식 물가 상승률을 연도별로 보면 2016년 2.5%, 2017년 2.4%, 2018년 3.0%, 작년 1.9% 등이다. 이와 비교하면 현재 외식 물가는 사실상 바닥을 기고 있는 셈이다.

 

이두원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코로나19와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외식 수요가 줄어들고 경기도 어렵다보니 외식 가격상승이 제한된 것 같다"며 "소비지표에서처럼 재난지원금이 외식 물가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었는데 손님들이 없는 상태에서 자영업자들이 물가를 올리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5~6월 소비를 반짝 끌어올렸던 재난지원금 효과도 식재료 등 집밥 물가에만 영향을 미쳤을 뿐이다. 

 

6월의 경우 돼지고기 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16.4%, 국산 쇠고기는 10.5%씩 상승했다. 

 

반면 이 기간 외식 물가 상승률은 0.6%에 그쳤다.

 

예년 같았으면 외식 물가가 낮을수록 소비자 입장에선 식비를 아끼니 만족스럽겠으나 지금과 같은 초저물가 현상은 외식 '수요 절벽'이 고스란히 반영돼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키운다.

 

문제는 앞으로도 한동안 이런 흐름이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지난달 중순 이후로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다시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3단계로 격상될 경우를 우려한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여러 차례 "경제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언급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결국 당장 생계가 막막해진 영세 자영업자부터 경영자금 지원 등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14일 외식 소비 활성화 취지로 3차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한 재원으로 외식쿠폰(2만원 이상 6번 외식하면 1만원 할인)을 발행했지만 수도권에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로 격상되면서 불과 하루 반나절 만에 중단되기도 했다.

 

때문에 이번 주 당정청간 협의로 결론이 나올 2차 재난지원금의 방식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린다. 

 

한정된 재원이 1차 때처럼 보편 지급으로 간다면 아무래도 자영업자를 비롯한 취약계층에게는 지원이 그만큼 덜 갈 수 있다. 

 

홍 부총리는 자영업자, 소상공인, 실직자, 저소득층에 대한 선별 지원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편 한국외식업중앙회는 지난 1일 보도자료를 통해 "매출이 60% 이상 감소하는 긴급 상황에 300만 외식업 종사자가 생존 절벽에 놓였다"며 피해 소상공인 업종에 대한 임차료·인건비 지원, 세금 감면, 재난지원금 조속 지급 등 특별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