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중국 정부가 내린 '한한령(限韓令·한류금지령)'에 따른 피해 신고가 지난 두 달간 2건에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는 '한한령' 초기 양국 간 교류가 대거 중단된 이후 별다른 진전이 없는 상태여서 소강국면을 보이고 있는 탓으로 풀이된다.
9일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문체부 '중국사업 피해 신고센터'에 접수된 피해 사례는 총 58건으로 집계됐다.
피해 유형별로는 계약중단·파기 26건, 제작중단 6건, 투자중단 4건, 행사지연 3건, 기타 19건이다. 장르별로는 방송 13건, 게임 27건, 애니메이션 4건, 기타 14건이다.
이 가운데 최근 2개월간 접수된 신고는 2건에 불과했다. 나머지 56건이 지난 3월 16일부터 5월 초까지 접수된 건이다.
2개월 내에 신고된 건은 5월 24일 접수된 연예엔터테인먼트분야, 지난달 21일 접수된 방송분야에 대한 피해였다. 이들 모두 '사업차질' 피해를 신고한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이처럼 피해 접수가 더딘 것은 이미 많은 사업들이 피해를 입고 양국 간 교류가 멈춰있는 탓이라는 게 문체부의 설명이다.
지난 5월 초 문재인정부가 들어서면서 사드문제로 인한 양국 간 갈등국면이 완화되지 않겠느냐는 기대도 있었지만 아직까지는 별다른 조짐이 없는 상황이다. 결국 갈등이 완화돼서가 아니라 이미 교류가 멈춘 상태에서 머물러있기 때문에 더 이상 변동이 없다는 것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어차피 초기에 중국사업이 중단되고 나서 그 이후 추가로 사업을 벌일 일도 생기지 않는 상황"이라며 "새로 피해가 생길 일도 없어서 피해 접수가 그 정도에 머물러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아울러 "중국과의 관계에 있어 상징적인 징표가 나타나거나 그런 것 같진 않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