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갯벌에서 건진 역사 ‘대부도 2호선 수중 발굴조사 보고서’

‘대부도 2호선 수중 발굴조사 보고서’가 나왔다. 경기도 안산시 대부도 방아머리 해수욕장 인근 갯벌에서 발굴한 고려 시대 난파선이 대부도 2호선이다.

2014년 11월 낙지를 잡던 어민이 발견한 대부도2호선은 배 앞머리와 뒷머리 일부만 밖으로 나와있는 상태였다. 확인된 선박의 잔존길이는 약 9.2m, 최대폭은 2.9m가량이다. 기존의 고려 선박에 비해 크기가 작고 날렵한 형태다. 선박 구조와 선체 내부에서 수습된 도자기들로 미뤄 볼 때 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초반의 고려 시대 선박으로 추정된다.

대부도에서는 대부도2호선 외에도 2006년 고려 시대 선박인 대부도1호선, 2013년에는 대부도 바로 서쪽 영흥도에서 통일신라 시대 선박인 영흥도선이 발굴됐다. 대부도 근처에서 발견된 이들 난파선은 과거 이곳에서 해상활동이 활발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갯벌에서 발견되는 난파선에서는 유물이 적게 나온다. 하지만 대부도2호선에는 선원들이 사용한 듯한 청자접시와 도기호, 빗 등이 다량 발견됐다. 특히 발굴 막바지 선체 아래에서 곶감으로 추정되는 감씨와 붉은색 과육 그리고 곶감꼬지가 함께 나와 당대 생활모습의 한 면을 엿볼 수 있는 자료를 확보했다.

대부도2호선은 선체의 바닥인 저판(底板)이 4열이다. 우리나라 한선(韓船)의 특징인 홀수 저판과 달라 선박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한선은 일반적으로 3, 5, 7열 저판을 가지고 있다.

보고서에는 발굴조사 내용과 함께 유물에 관한 연구, 선체 연대 측정, 도기호의 보존처리, 선체 수종분석 등 고려 시대 선박사, 도자기 역사, 생활사 등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담았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누리집(www.seamuse.go.kr)에서 볼 수 있다. 박물관, 대학도서관 등에도 배포할 예정이다.

문화재청은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서해안을 중심으로 중국·일본 등 해상교역을 활발히 펼쳐왔다. 태안과 진도, 신안 등지에서 발견되는 고선박들은 ‘바닷속 타임캡슐’로 불리며 많은 유물을 제공하고 있어 우리 해양문화의 면모를 엿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