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카드가 포인트 사용비율 제한을 폐지하지 않기로 해 소비자의 반발이 예상된다.
금융감독원은 포인트의 사용비율을 제한하는 영업관행이 소비자의 정당한 포인트 사용을 저해한다고 보고 개선을 추진했지만 현대카드는 이에 따르지 않기로 했다.
9일 금융당국과 업계에 따르면 포인트 사용비율을 제한하고 있는 5개 카드사 중 현대카드만 유일하게 사용 한도 폐지에 동참하지 않았다.
나머지 BC·하나·신한·삼성카드는 이달부터 4월까지 순차적으로 올해 발급되는 신규 카드뿐 아니라 기존 카드도 포인트 사용비율 제한을 없애거나 폐지를 검토 중이다.
현대카드는 경쟁사와 포인트 비용 분담 구조가 달라 일괄적으로 적용하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타사의 경우 포인트를 적립할 때 적립금에 대한 부담을 카드사와 가맹점이 일정비율을 나눠서 분담하는데 현대카드는 카드사가 100% 부담하고 나중에 포인트를 사용할 때 그 비용을 가맹점과 반반씩 나누는 구조다.
대신 100% 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포인트 제도를 하반기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사용비율을 제한하지 않는 신규 포인트(가칭 C포인트)를 제정하고, 기존 포인트(M포인트)를 신규 포인트로 전환하는 식이다.
전환 비율은 1.5대1을 고려 중이다. 15만 M포인트가 있으면 10만 C포인트로 전환해 쓸 수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비용 절감을 위해 소비자의 권익을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카드를 팔 때는 포인트 혜택이 많은 것처럼 얘기하지만 구입 후 실제 포인트를 쓰면 생각했던 것보다 혜택이 크지 않거나 예외 적용이 많기 때문이다.
실제 금감원 조사 결과 카드사는 자사 쇼핑몰 등 특정 가맹점에서만 전액 사용을 허용하며 매출확대를 도모했다. 또 카드사 쇼핑 사이트에서 판매하는 물건이 다른 쇼핑몰에 비해 비싼 경우가 많아 포인트를 사용해도 실제 고객이 지출한 비용이 더 많기도 했다.
소비자단체 등 시민사회는 카드사의 포인트 한도 정책이 고객에게 할인 혜택을 주기보다 구매를 유도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지적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포인트는 소비자의 몫인데 카드사와 가맹점은 부수익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며 "소비자 권익을 중시하는 경영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추후 민원분석 등을 통해 미흡한 부분이 있을 경우 업계와의 논의를 통해 추가 개선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소비자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비율 제한 사실을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