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13년간 AI 청정지역 옥천군, 숨 가빴던 3일…확산 방지 '총력'


2003년 12월 국내에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전파된 후 지금까지 단 한 번도 AI가 발생하지 않았던 충북 옥천군의 지난 21일부터 23일까지 3일간은 숨 가빴다.

23일 AI 발생농장 산란계 10만 마리에 대한 예방적 살처분을 완료한 군은 다른 농장의 감염 여부 확인과 축산 관련 이동차량에 대한 소독과 예찰에 총력을 기울였다.

21일 옥천읍 구일리의 한 농장에서 20여 마리의 산란계가 폐사했다는 신고를 접수한 군은 즉각 출동, 5마리를 수거해 축산위생연구소에 간이검사를 의뢰했다.

검사 결과 5마리 중 1마리에서 AI 양성 판정이 나왔다.

결국 올 것이 왔다는 어수선한 분위기였지만 군은 가축방역위생본부 '초동방역팀' 투입, 군수 주관 '옥천군재난안전대책본부 긴급회의' 개최, 농림축산검역본부 '역학조사반'의 현장조사 의뢰 등을 반나절 만에 완료했다.

중요한 것은 확산 방지였다.

AI 피해가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위기경보가 최고 수준인 '심각' 단계로 격상하면서 지역에 1곳의 거점소독소와 8곳의 이동통제초소를 운영하던 군은 운영 인력을 두 배로 늘렸다.

거점소독소도 2곳 늘리기로 했다.

문제는 해당 농장 산란계 10만 마리에 대한 예방적 살처분이었다.

지역에 전문 살처분 용역업체가 없고, 경험이 있는 공무원도 없었다.

하지만 밤새 친환경농축산과를 중심으로 비상대책 회의를 진행하고 관계기관과의 협력, 자문 등을 통해 전문용역 업체를 섭외하고, AI 발생 이튿날인 22일 오전 9시부터 살처분 작업에 착수했다.

다행히 해당 농장 안에 살처분 대상 산란계를 매몰할 터가 있어 일은 순조롭게 진행됐다.

인력 60여 명과 굴착기, 덤프트럭 등 중장비가 동원돼 23일 오후 살처분과 매몰이 마무리됐다.

지역 내 AI 확산을 막기 위한 가장 중요한 순간이었다.

AI 발생에서 해당 농장 가금류 살처분까지 3일, 정확히 2일 4시간이 걸렸다.

AI 발생 당일 해당 농장의 모든 가금류를 살처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13년간 청정지역을 유지했던 옥천군으로서는 최선을 다한 시간이었다.

박종명 옥천군 친환경농축산과장은 "AI 발생 농장이 가족경영 형태로 인근에 2개 농장이 더 있어 촉각을 기울이는 중이다. 현재 해당 농장 산란계에 대한 예찰을 강화했다"며 "AI 확산을 막기 위한 방역 활동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