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협력해 '빅데이터 기반 감염병 발병 조기 파악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21일 밝혔다.
현재 국내 감염병 감시체계는 병·의원의 신고를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다. 의료기관이 감염병 환자를 진단했을 때 발견되는 감염병 종류에 따라 신고 시기가 다르다.
감염병 제1군~4군(56종)은 지체없이, 제3군 중 인플루엔자, 제5군 및 지정감염병 등 24종은 주간 단위로 단위로 질병관리본부나 관할 보건소에 신고하는 감시체계를 갖추고 있다.
현행 감시체계에서는 인플루엔자와 같이 주간 단위 신고 대상 감염병인 경우 환자 발생 시부터 보건당국 신고까지 최대 1주일이 소요될 가능성이 있는 것.
이번에 구축된 빅데이터 기반 감염병 발병 조기 파악 시스템은 의약품안전사용정보시스템의 실시간 처방 내역 빅데이터를 분석해 감염병 발생 추이를 조기에 포착할 수 있다.
의약품안전사용정보시스템에는 2010년부터 현재까지 51억건의 의약품 처방·조제 데이터가 축적돼 있다. 지난해 기준 일평균 약 460만건의 데이터가 추가적으로 수집되고 있는 상황이다.
보건당국은 축적된 처방 데이터를 분석해 감염병 의약품 처방 패턴을 도출하고, 패턴과 일치하는 처방내역을 실시간으로 추적하게 된다.
미래부와 심평원은 올해 법정감염병 중 건강보험 청구건수 기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인플루엔자에 대한 조기 파악 시스템 개발을 완료한 바 있다.
내년에는 수족구병, 결핵 등을 추가 지원하고, 향후 전체 감염병 대응을 목표로 시스템을 고도화해 나아갈 계획이다.
이번 조기 파악 시스템은 내년부터 시범적으로 운영되며, 향후 기존 감염병 감시체계에 대한 보완적 시스템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장석영 미래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앞으로 국민들의 건강 증진을 위해 의료 빅데이터의 활용가치를 더욱 높여 나아가도록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