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진 관련 예산을 전년 대비 3배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1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진방재 관련 투자확대 등 안전분야 투자방향을 설정하고 재정을 확대 지원하기로 했다. 올해 1163억원이던 예산은 내년 3669억원까지 늘어난다. 지난 9월 경주지역 강진 발생이 계기가 됐다.
정부는 우선 한반도 활성단층조사, 지진전문가 양성·확충 등 인프라 구축사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동남권 지역 단층대를 2020년까지 우선 조사하고 단계적으로 전국 단층(약 45여개)을 조사할 예정이다. 정부의 지진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전문 인력과 조직도 보강하기로 했다.
긴급재난문자 발송지연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재정지원도 강화한다. 업무를 기상청으로 일원화하고 국가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을 보강(2016년 7억원→2017년 86억원)한다. 지진계 설치를 늘려 지진경보 시간을 당초 50초에서 2020년까지 10초 이내로 단축시키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철도, 교량 등 지진발생시 큰 피해가 우려되는 공공시설 내진보강도 조기 추진한다. 1917개소에 예산을 집중투자해 주요 사회간접자본(SOC) 시설에 대한 내진보강을 2019년까지 조기 완료할 방침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경주 강진 발생을 통해 우리나라도 지진 안전 지대가 아니라는 점이 확인된 만큼 장기적 시계를 가지고 중기재정 계획을 통해 체계적으로 지진예산을 확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