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정부, 조선 빅3 체제 유지...조선·해운에 17.7조원 투입


정부가 조선업 수주 절벽에 대응하기 위해 2020년까지 11조 2000억원을 투입해 250척을 발주한다. 대우조선을 살려 현 빅3 체제를 유지하는 한편,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선박신조 프로그램 등에 6조5000억원의 금융 지원도 제공한다.


정부는 31일 총 17조 7000억 규모의 조선·해운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제6차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했다.


정부가 이날 내놓은 경쟁력 강화방안을 보면 우선 조선업 수주 절벽에 대응하기 위해 공공선박 조기발주와 선박펀드를 통해 2020년까지 250척도 발주한다.


구체적으로 7조5000억원을 투입해 공공선박 63척 이상을 조기 발주한다. 호위함·고속상륙정 등 군함에 6조6700억원, 경비정에 4362억원, 어업지도선 등 관공선 발주에 3800억원을 투입한다.


또 3조7000억원의 선박펀드를 활용해 2020년까지 75척 이상 발주도 지원한다. 이외에도 중소형 선박 금융지원울 통해 115척 신조 발주를 유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정상 외교 등 고위급 외교채널을 적극 활용해 123억 달러 규모의 해외 군함 프로젝트 등 해외 수주지원에도 나서기로 했다.


해운업 활성화를 위해 6조5000억원이 투입된다.


정부는 선사들의 신규 선박 발주를 지원하기 위해 '선박 신조 지원프로그램' 규모를 2조7000억원으로 늘린다.


선사들의 원가절감과 재무개선을 위해 자본금 1조원 규모의 가칭 '한국선박회사'도 설립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선사 소유의 선박을 시가로 인수하고, 장부가와 시가의 차이는 유상증자 등을 통해 자본을 공급키로 했다.


이와 함께 캠코선박펀드의 중고선 매입 규모를 오는 2019년까지 1조9000억원으로 확대하고, 기존 '글로벌 해양펀드'를 개편해 선사들의 항만터미널 매입 등 국내외 인프라 투자도 지원키로 했다.


이날 정부는 세계 조선시장이 앞으로도 전반적으로 부진할 것으로 판단, 건조능력 축소 등 고강도 자구계획 이행안도 제시했다.


정만기 산업부 1차관은 "올해 9월까지 세계 발주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2% 감소했고 한국 수주량은 87%나 감소했다"며 "한국 주력선종의 경우 운항중인 선박의 선령이 낮고 국내 발주도 중국과 일본과 비교해 미미해 2016~20년 발주량은 과거 5년의 34~50%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본다”고 했다.


이에 정부는 조선 3사별로 부유식 도크 등 유휴설비 매각과 가동중단, 인력조정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은 2018년까지 직영인력을 6만2000명에서 4만2000명으로 줄이기로 했다.


2018년까지 조선 3사의 도크 수도 31개에서 24개까지 23% 축소한다.


부실규모가 큰 해양플랜트 사업규모 비중도 줄인다. 2013~2015년에 31%였던 해양 수주액 비중을 2016~2018년에는 24%로 감축하기로 했다.


비핵심사업·비생산자산 매각, 유상증자 등도 추진한다.


현대중공업은 1조5000억원 규모의 비핵심자산을 매각하고 태양광, 풍력 등 비조선해양 사업부문은 분사와 상장전투자유치(Pre-IPO)를 한다. 5개 자회사도 매각을 한다.


삼성중공업도 5000억원 규모의 비생산자산 매각과 1조1000억원의 유상증자를 진행한다.


대우조선해양은 서울본사, 마곡부지 등 자산과 14개 자회사를 매각해 2조1000억원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인건비도 2018년까지 45% 줄이기로 했다.


이같은 자구계획 이행과 함께 조선사별로 사업 포트폴리오도 조정한다.

현대중공업은 조선과 부품유통·서비스를 융합한 애프터마켓 사업과 해외 조선소 운영 현대화 사업에 진출한다.


삼성중공업은 상선 부문을 친환경·고무가 선박 중심으로 전문화한다. 심해저개발 위험작업 대체로봇 제작 등 해양플랜트 서비스 등 전후방 사업에도 신규 진출한다.


대우조선해양은 대형 LNG선, 고효율 메가 컨테이너 등 차세대 新선박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같은 체질개선과 경영 정상화, 시장여건 등을 고려해 산업은행의 대우조선 민영화 M&A등 사업재편을 추진하기로 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