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국내 기업 '접대비' 명목 지출 7조원 육박

中企 접대비, 대기업의 5배 달해

국내 기업들이 영업활동을 하면서 거래처를 상대로 지출하는 '접대비' 규모가 7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벌닷컴이 14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중소기업청이 집계한 기업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12년 기준 국내 전체 기업의 접대비는 6조6000억원이었다.

국내 기업의 접대비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2009년 5조6000억원에서 2010년 6조1000억원으로 6조원을 뛰어넘었고, 2011년에는 6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의 접대비 부담이 대기업의 5배에 달했다.

대기업의 매출 대비 접대비 비율은 2009년과 2010년은 0.09%, 2011년과 2012년은 0.08%였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 2009년 0.43%, 2010년 0.41%, 2011년 0.4%, 2012년 0.41%로 대기업보다 평균 5배 높았다.

접대비 규모도 대기업은 2009년 1조5000억원 → 2010년 1조6000억원 → 2011년 1조7000억원 → 2012년 1조8000억원인 데 비해 중소기업은 4조1000억원 → 4조4000억원 → 4조7000억원 → 4조8000억원으로 2배 이상 많았다.

재벌닷컴 관계자는 "이는 시장 경쟁구도에서 대부분 '을(乙)'의 위치에 있는 중소기업이 일감을 수주하기 위해 대기업보다 더 많은 접대비를 지출하기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이같은 중소기업의 높은 접대비 부담이 판매관리비 상승으로 직결되면서 이들 기업의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2012년 기준 대기업은 매출 2261조8000억원, 영업이익 105조5000억원으로 영업이익률이 평균 4.7%를 기록했으나, 중소기업은 매출 1188조9000억원, 영업이익 36조2000억원으로 3%에 그쳤다.

이번 조사에서 집계된 접대비는 기업 재무제표 계정상 판관비에 속한 접대비 금액이며, 국세청이 세법상 적용하는 접대비 금액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