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하나금융 "빅데이터 공유·활용 근거규정 마련 필요"

하나금융그룹은 9일 빅데이터 활성화와 관련, "데이터 공유 및 활용을 위한 근거규정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나금융은 이날 서울 중구 프라자호텔에서 열린 '빅데이터와 금융, 뉴웨딩' 포럼에서 임종룡 금융위원장의 '금융개혁과 핀테크'를 주제로 한 강연에서 이같이 제안했다. 

하나금융은 "빅데이터 산업은 데이터를 확보한 회사가 시장과 정보를 독점할 우려가 있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에 데이터를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 근거 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데이터를 사회와 경제 성장을 위한 새로운 원자재로 활용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금융위에서 핀테크 산업과 마찬가지로 빅데이터 활용 또한 사전적 규제가 아닌 '사후적 규제'를 추진할 계획이 있는지 물었다. 

하나금융은 "빅데이터 활용 자체가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뿐만 아니라 신용정보보호법과 상충되는 부분이 있어서 구체적인 사업추진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며 "빅데이터에 대해 자율성을 보장하는 사후적 규제로 변화할 가능성이 있는지 궁금하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임 위원장은 "금융회사에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틀'을 만들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비식별 정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전달하는 등 여러 구상을 갖고 있다. 하나하나 풀어나가겠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빅데이터 활용에서 비식별 정보를 사용하게 되면 당연히 사후적 규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나금융은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금융권 공동으로 자영업자의 매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금융지원 시스템을 구축할 것을 제안했다. 

하나금융은 "미소금융 현장의 얘기를 들으면 자영업자들의 매출 데이터가 예상 밖으로 매우 일정하게 나오고 있다고 한다"며 "매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금융지원 시스템을 신용카드 밴(VAN)사나 포스(POS) 데이터 회사를 포함해 금융권 공동으로 구축한다면 시장 논리에 의한 소상공인의 금융지원 활성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 위원장은 "좋은 제안"이라며 "금융권 공동 사업에 대해 보다 구체화해주면 검토 후 금융권에 제안해보겠다"고 말했다. 

하나금융은 2009년 12월 국내 금융권에서 최초로 스마트폰뱅킹 서비스인 '하나N Bank'를 개시한 이후 스마트 금융 산업에 앞장서고 있다. 

이후 지난 2013년 국내 최초로 모바일 단독체크카드를 발급한 데 이어 지난 5월 단독 모바일 신용카드까지 발급했다. 단독 모바일 신용카드는 출시 3주만에 가입자 5000명을 돌파하며 인기를 모았다. 

지난 6월에는 KEB하나은행이 핀테크 스타트업 육성과 협업을 위해 '핀테크 1Q Lab(원큐 랩)'을 설립해 다양한 분야의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있다. 

하나금융은 하나금융은 해외시장에서도 발빠른 핀테크 전략을 펼치고 있다. 현재 24개국 127개에 글로벌 네트워크가 구축된 상태다. 

하나은행이 지난 1월 캐나다에서 출시한 '1Q 뱅크'는 출시 6개월 만인 지난 7월 신규계좌 1만3000좌를 돌파한 바 있다. 은행 서비스에 핀테크를 활용한 것으로 휴대전화 번호를 통한 자금이체, 비대면 채널을 통한 선불카드 발급, 스마트폰 전용 자유적립식 적금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나금융은 1Q 뱅크를 통해 중국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하나은행 중국유한공사와 개발에 들어갔다. 아울러 인도네시아에서의 1Q 뱅크 적용을 검토하고 있다. 

KEB하나은행으로 출범한 이후에는 스마트 금융을 담당하던 미래금융조직을 본부에서 그룹으로 격상시켜 핀테크형 혁신 상품과 서비스 유지 및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나금융은 "수익성과 고객 기반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상품 및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만든 플랫폼을 활용한다"며 "플랫폼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며 지속적인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핀테크 기업과의 협업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