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0일 저인플레이션 상황이 장기화되고 있는 것과 관련, "주요국 중앙은행이 직면한 가장 큰 도전"이라고 우려했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본관에서 열린 조사통계 국제컨퍼런스 개회사에서 "미국·유로 등 선진국에서 0%에 가까운 저인플레이션 국면이 이어지고 있고, 한국 등 다수 신흥국에서도 인플레이션이 전례 없이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금융위기 이후 과감한 완화적 통화정책에도 불구하고 낮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며 "최근 저인플레이션 현상은 수요·공급 등 경기적 요인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의 구조적 변화에도 기인한다"고 말했다.
이어 "선진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수요가 완만하게 회복되고 있지만 여전히 잠재생산 수준을 밑돌고, 국제유가 하락 등이 공급 측면에서 물가 수준을 낮추고 있다"며 "인구고령화, 유통구조 혁신, 글로벌 경쟁심화 등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완화시키는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방안으로 "완화적인 통화정책의 수요증대 효과는 오래 갈 수 없다"며 "금융·노동 부문에 대한 구조개혁의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금융완화에 따른 경제 내 부작용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냈다. 이 총재는 "한국의 경우 정책금리 수준이 낮아지면서 가게부채 증가세가 확대됐는데 이에 따른 금융시스템 리스크와 소비여력 약화 등 거시경제적 리스크도 커지고 있다"며 "이에 대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물가안정목표제에 대해서는 "저인플레이션 상황 속에서 최선의 방안인지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물가안정목표제가 물가 안정을 도모하는 데는 효과적이지만 저인플레이션 속 경기부진과 디플레이션에 대응하는 데는 최적의 운영체제가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물가안정목표제에 대한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는 명목 GDP목표제와 물가수준목표제에 대해서는 "현실 적용 가능성과 정책 운영의 신축성 등에서 한계가 있다는게 일반적 평가"라고 말했다.
한은은 현재 2.5%~3.5%의 중기 물가안정목표를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3년(2016~2018년)간 적용될 새로운 중기물가목표를 올해 새롭게 설정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