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20% 이상 고금리' 돈놀이…대기업계열 카드사들

20%이상 고금리 비중 현대·삼성·롯데 順

가계부채가 우리경제의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대기업계열 카드사들은 고금리 카드론 영업을 강화하며 이자마진 높이기에 열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계열 카드사들은 특히 서민이 대부분인 카드론 이용고객에게 연 20%가 넘는 고금리를 적용하는 비중이 높아 '돈놀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까지 3개월 이상 카드론을 이용한 신용카드 고객 가운데 연 20%를 넘는 고금리를 적용하는 비중이 높은 카드사는 현대, 삼성, 롯데카드 순인 것으로 집계됐다.

카드론은 급전을 융통할 때 잠깐 이용하는 현금서비스와 달리 3개월 이상 돈을 빌리는 장기대출 상품이다. 특히 카드론은 주로 은행대출이 어려운 서민들이 이용하는 금융상품인 만큼 대기업들이 서민들을 상대로 돈놀이에 열중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현대카드의 경우 올해 6월 30일까지 카드론을 이용한 고객들 가운데 20% 이상의 금리를 부담한 고객이 38.85%에 달한다. 10명 가운데 4명 가량이 20%가 넘는 금리를 물고있는 셈이다.

20~22%미만의 금리가 적용된 고객이 17.15%, 22~24%미만이 12.94%, 24~26%미만 7.38%, 26~28% 1.38%였다. 현대카드가 적용하는 카드론 최고 금리는 27.50%로 전업계와 은행계를 포함한 19개 전체 신용카드사들 가운데 가장 높다.

금리 20% 이상 카드론 고객 비중이 두번째로 높은 곳은 삼성카드로, 상반기 말 기준 24.77%의 고객이 높은 금리를 부담하고 있다. 20~22%미만이 8.82%, 22~24% 미만이 15.95%였다.

이어 롯데카드가 20.66%의 카드론 고객에게 20% 이상의 금리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20~22%미만이 7.20%, 22~24%미만이 13.46%다.

전업계 카드사들 중 은행계열 카드사들의 경우 고금리 카드론 비중이 천차만별이었다. 신용카드 시장 1위인 신한카드의 경우 20% 이상 고금리 카드론 비중이 18.36% 였고, 하위권인 우리카드와 하나카드의 경우 각각 15.39와 1.88%인 것으로 파악됐다.

카드사들은 2011년 2분기 정부의 억제책이 나온 이후 현금서비스 대신 카드론 영업에 집중하며 비중을 점차 늘려가는 추세다. 올해 1분기 전업계 8개 카드사의 카드론 수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3.38% 증가했다. 연간 취급액도 2012년 24조원에서 2013년 28조원, 지난해에는 30조원까지 늘어났다. 2011년 23.2%였던 카드론의 비중은 2015년 1분기 34.7%로 높아졌다.

카드론의 경우 대출기간이 3개월 이상으로 장기간 이자수익을 얻을 수 있어 카드사 입장에서는 안정적인 수익원이 된다는 점에서 비중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대해 대기업계열 카드사 관계자는 "기업계 카드사들의 금리가 높은 것은 은행계와 달리 조달 비용이 높기 때문"이라면서 "회사의 재무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높은 금리를 적용할 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