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은행업 앞날은 가시밭길…금융산업 하강 추세 지속될 것"

"금융업 순수익 중 은행 비중 40% 밑으로 떨어져"

은행 부문의 수익성 부진이 이어지면서 금융산업 전체적으로 하강 국면에서 벗어나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0일 발간한 '2015년 하반기 금융산업 전망' 보고서에서 저성장과 저금리에 따라 금융산업 전체의 순수익이 줄어드는 추세에 들어섰고, 그 흐름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업권의 순이익 총합은 2005년 48조원에서 2011년 75조원으로 연평균 7.7% 성장했지만 지난해 70조원으로 내려앉으며 감소세로 돌아섰다.

특히 은행의 경우 2005년 전체 금융업권 순수익의 절반 정도를 차지했지만 지난해 40% 이하로 하락했다. 올해 두차례에 걸친 기준금리 인하로 순이자마진(NIM)이 떨어진데다 수수료 수익원의 신규 발굴도 쉽게 이뤄지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계좌이동제와 외국환업무 규제 완화, 인터넷 전문은행 등장 등으로 은행의 영업은 더욱 험난해 질 것으로 연구소는 진단했다. 

자기자본이익률(ROE)도 금융위기 이전에는 두자릿수를 기록했지만 모든 업권에서 한자릿수로 떨어졌다. 보고서는 "마진율 방어를 위한 금융업계의 노력이 지속되더라도 특별한 계기가 없는 한 이같은 기조가 쉽게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고령화와 저금리 환경에서 은행의 새로운 수익 창출을 위해서는 '자산관리시장'에 주목할 것을 연구소는 제안했다.

손준범 수석연구원은 "자산 관리 니즈에 대해 금융권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전체적인 균형을 맞추기 위해 은행에도 투자 일임업 등을 허용해 고객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은행에게 새로운 수수료 기반을 마련해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비은행 부문의 하반기 실적은 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할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소는 증권업에 대해 저금리로 인한 중위험 상품에 대한 투자수요가 ELS 등으로 집중되면서 증권사의 수수료 수익이 개선될 것으로 예측했다. 

생명보험업의 경우 저축성 보험의 수수료 체계 개편에 따른 판매의 어려움과 자본 규제 강화에 따른 자본 비율 악화 우려 등이 제기됐지만 '보장성 복합상품'을 중심으로 수입 보험료의 증가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카드 산업에 대해서는 소액 결제 확대와 가맹점 수수료 인하 등으로 인해 가맹점 수수료 비중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고, 부동산 신탁에 대해서는 신규 분양시장을 중심으로 주택 경기가 살아나면서 토지 신탁의 수익 기여도가 높아질 것으로 분석됐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