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美 금리인상' 가능성 고조 속 8월 금통위 결정 주목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9월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면서 13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8월 기준금리 결정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국내 금융시장에서는 현 수준인 1.50%의 금리가 동결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미국의 금리인상 시기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당장 금리를 움직이기 보다는 국내외 경제상황과 자금 흐름을 지켜보면서 신중하게 대응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앞서 이주열 한은 총재는 미 연준의 금리인상 가능성과 관련해 지난 2013년 벤 버냉키 당시 연준 의장이 양적완화 규모 축소를 시사하는 발언 만으로 국제 금융시장이 큰 변동성을 나타낸 '긴축발작(테이퍼 텐트럼)' 현상이 일어난 점을 언급, "금리인상 추이를 잘 지켜봐야 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일단 미 연준이 금리인상에 본격적으로 나서게 되면 자본 유출을 우려하는 시각이 많다. 미 달러화 강세로 원화 가치가 떨어지게 되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에 투자한 주식과 채권 등 자산을 팔아치우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운데 금리를 인하하게 되면 외국인 자금이탈 속도를 가속화시킬 우려가 있어 부담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원은 "미 연준의 금리 인상과 글로벌 금융 환경, 세계 경제 상황 등을 점검하면서 글로벌 자금 흐름이 어떻게 움직일 지 예측하면서 차선책을 먼저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국내 금융시장에 자금이 급격하게 빠져나갈 만한 자금이 많이 유입되진 않았지만 자금 성격도 점검하면서 신중하게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특히 "미 금리가 오르면 작은 이자율 차이라도 자금 흐름을 촉발할 수 있어 부담이 될 것"이라며 "금리 변동이라는게 인상이든, 인하든 양면성이 있는데 자금 흐름에 대한 확실한 자신감이 없으면 금리 인하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 경제 상황이 여전히 부진한 점을 감안하면 추가 금리인하 압력을 받을 수 있지만 급증하고 있는 가계부채 문제, 물가 안정, 추가경정예산(추경) 효과 등 복합적인 상황을 판단해야 하는 한은이 쉽게 금리 인하 카드를 꺼내기는 어려워 보인다.

금통위원들이 지난 7월 금통위에서 금리인하의 효과가 제대로 전달되는지 보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데에 공감을 표한 것도 이러한 전망에 힘을 싣고 있다.

김문일 유진투자선물 연구원은 "국내 가계부채는 올 1분기 기준 1100조원 수준에 이르고 있고, 이를 해결할 실질적인 해결 방법이 부재한 상황"이라며 "한은의 추가 금리인하는 쉽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이미 금리가 1.50% 라는 점에서 추가 인하 여력이 제한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일부 해외 투자은행(IB)들은 미 연준이 금리를 올리더라도 한은이 경제 회복세를 감안해 추가로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HSBC는 최근 보고서에서 "올 하반기에 한국의 경기 회복세가 크게 개선되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한은이 9월에 마지막으로 금리인하를 단행할 수 있다"고 했고, 스탠다드차타드(SC)도 "엔저에 따른 수출 경쟁력 저하가 심화되면 한은이 추가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