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임시공휴일 1인당 8만원 소비지출…1조3100억 부가가치 유발"

현대경제硏 보고서

현대경제연구원은 8월14일 임시공휴일 지정이 침체된 내수경기에 활력을 불어넣으며 1조3100억원의 부가가치를 유발할 것으로 분석했다.

6일 현대경제연구원은 '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 보고서를 통해 임시공휴일 하루 동안 숙박, 운수, 음식점, 오락문화서비스 등의 업종을 중심으로 소비가 활성화되면서 이 같은 효과를 낼 것으로 분석했다.

부문별 부가가치는 음식업 4800억원, 숙박업 3300억원, 운송서비스업 2800억원, 오락문화서비스업 2200억원 등이다.

보고서는 전체 인구의 절반인 2500만명이 임시공휴일을 적용 받을 경우 1인당 7만9600원의 소비지출을 유발해 하루 동안 전체 1조9900억원의 경제 전체 소비지출액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지출의 구성비는 2011년 실시된 현대경제연구원 설문조사(대체휴일제를 통해 내수를 활성화하자)를 토대로 숙박(23.9%), 교통(28.2%), 식비(34.1%), 오락문화(13.8%)로 가정했다.

그 결과 하루 생산유발액은 3조8500억원으로, 음식업이 7100억원으로 가장 많고 이어 ▲운수업 6260억원 ▲숙박업 4970억원 ▲문화 및 기타서비스 3000억원 등으로 분석됐따.

임시공휴일에 따른 취업유발인원은 4만5700명으로 음식업이 1만7800명, 숙박업 1만2400명, 운송서비스업 8400명, 오락문화서비스업 7100명 등이다.

주원 이사대우는 "휴식은 미래의 생산성 제고, 침체된 내수 경기 회복의 모멘텀 조성, 지역 경제의 활성화 등에 긍정적"이라며 "휴일을 '노는 날'이 아닌 새로운 부가가치 생산 활동 기간으로 인식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