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번째 시도는 성공할 것인가.'
지분을 나눠 파는 '과점주주 방식'이 우리은행 매각에 채택되면서 민영화에 대한 기대감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그 동안 금융당국이 우리은행의 지분을 통째로 매각하려고 시도했으나 수차례 불발되면서 우리은행의 민영화 추진에 먹구름이 끼었던 것이 사실이었다. 하지만 이번에 지분을 쪼개팔 수 있는 쪽으로 방침이 선회하면서 매각 가능성은 한층 높아졌다.
물론 과점 매각 방식으로는 은행 경영권이 불안해지는 측면도 있어 금융당국이 자금회수에만 초점을 맞춘 나머지 은행 안정성을 외면한 선택을 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21일 은행업계에 따르면 이번 우리은행 매각 방식의 특징은 기존의 경영권 매각과 함께 과점주주 매각 방식을 추가한 것이다.
이 방식은 특정 기관이나 업체에 경영권을 넘기지 않고 몇몇 주주에게 지분을 4~10%씩 쪼개 파는 것을 말한다. 지분 30~40%를 일괄 매입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지분을 사려는 수요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과점주주 매각 방식은 우리은행측에서도 환영하던 바다.
만약 경영권이 특정 대주주에게 넘어갈 경우 그동안 쌓아올린 우리금융의 색깔이 옅어질 수 있고,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단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은행은 이번 결정에 대해 공개적으로 말은 안하지만 '바라던 바'라며 매각에 대한 기대감을 감추지않고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매각 가능성이 높은 과점주주 매각 방식이 방안에 들어갔다는 것은 긍정적"이라며 "앞으로 매각 일정에 따라 남은 절차를 마무리 짓겠다"고 말했다.
다만 아직까지 구체적 매각 일정이 나오지 않았다는 점에서 우리은행측은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일단 지분을 매입할 수 있는 수요처부터 확인해야하는데 매각 일정이 정해지지 않다보니 연내 매각이 쉽지 않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몇 년이 걸릴지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내달 구체적인 매각 일정에 대해 다시 발표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과점주주 매각 방식까지 나왔는데 살 사람이 없다면 그 것 역시 문제다.
국가계약법상 정부 소유 재산은 높은 가격을 제시한 투자자 순으로 각자 희망하는 물량을 배분하는 '희망수량 경쟁입찰' 방식을 도입한다.
이는 투자자마다 사들이는 지분의 가격이 다를 수도 있어 투자자들이 선호하지 않는다. 달리 말하면 이는 정부가 우리은행에 들어간 공적자금을 회수하는 데만 관심이 있다는 얘기가 된다. 사실상 우리은행 민영화는 2순위인 셈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사실상 이번 공자위의 결정은 자금 회수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며 "그동안 우리은행이 4차례나 매각이 무산되면서 지배구조라든지, 은행의 안정성 문제 등에 대해서는 아무도 관심이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은행이 중동에까지 가서 투자설명회를 열어도 시장에서 관심을 받지 못했는데, 무작정 '쪼개서라도 팔아보자'라는 얘기는 문제가 있다"고 덧붙였다.
다른 은행권 관계자는 "일단 과점주주 매각 방안이 포함되면서 우리은행 민영화 가능성은 상당히 높아졌다"면서도 "앞으로 구체적인 매각 일정이 나오기 전까지는 수요자 파악이 어려워 매각 전망이 그리 밝은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