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사, 직원 횡령 등 금전사고 금액 절반도 회수 못해

2010년부터 5년간 횡령사고 47.5%만 회수

금융사가 임직원의 횡령 등으로 발생한 사고금액의 절반도 회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신학용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18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금융사 금전사고 현황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최근 5년간 횡령사고 액 중 47.6%만 회수됐다. 

이 기간 동안 모두 1조7740억원에 달했다. 이 중 계좌에서 돈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막는 ‘지급정지’ 등의 조치를 통한 회수예상액은 8442억원에 불과하다. 

사고금액별로는 은행권이 1조3463억원으로 가장 많고 ▲서민금융 3239억원 ▲증권 850억원 ▲보험 188억원 순이었다. 

반면 회수율은 증권이 11.6%로 가장 낮았고 ▲서민금융 17.3% ▲은행 56.6% ▲보험 84.9% 순으로 조사됐다. 

신학용 의원은 "회수율이 낮은 것은 사고 발생 사실을 늦게 발견하고 후속조치를 제때 취하지 못한 탓"이라며 "당국은 대형 금융사고뿐 아니라 서민형 금융사고에 대해서도 확실한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지적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