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한 지난달 17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본회의에선 미국의 금리 정상화에 따른 중국 내 자본유출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은이 10일 공개한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한 금통위원은 “대규모 자본 유출이 발생할 가능성과 이에 따른 중국의 금융시스템 불안정성이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면밀한 점검이 필요하다”며 선제 대응을 주문했다.
이 금통위원은 이날 의사록에서 "러시아, 브라질, 터키 등 경제기초여건이 취약한 신흥국뿐만 아니라 말레이시아, 중국에서도 자본이탈 조짐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금통위원이 중국내 자본이탈 가능성을 언급하며 우리 금융시장은 물론, '중국 변수'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한 것은 이례적이다.
이 금통위원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중국의 외화보유액이 1500억 달러 감소한 사실을 이러한 우려의 근거로 제시했다.
그는 중국의 외화보유액 감소와 관련, 위안화 절상 기대로 중국에 유입된 단기투기자금이 다시 유출된 결과로 보는 견해가 있다고 소개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정상화할 경우, 이러한 일이 중국에서 되풀이될 수 있고 대중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도 그 후폭풍이 거세게 불 수 있다는 우려를 내비친 것이다.
한은은 이에 대해 “중국이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대상국인 만큼 중국의 자본 유출입 상황에 유의하고 있다”면서도 그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한은은 ▲중국 자본시장의 대외 개방도가 높지 않은 점 ▲정부의 시장 통제능력이 강하다는 점 ▲단기자금 유입에 대한 규제강화 조치가 시행되어온 점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