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지주와 외환은행 노동조합이 조기 통합 등 다양한 의제를 놓고 협상을 벌인다.
외환은행 노조는 28일 하나금융지주에 조기합병 논의를 포함한 '조건없는 대화'를 제시했다. 외환은행은 노조 총회 참석에 따른 직원들의 징계 수위를 낮추는 방식으로 화답했다.
외환은행 노조는 28일 서울 본점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하나금융지주와 일단 조건 없이 대화를 시작하고자 하며, 현 상황에 대한 노동조합의 모든 요구와 주장을 대화의 장에서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조는 "대화 상대는 외환은행의 인수를 논의한 '2.17 합의서'의 당사자인 하나금융지주와 외환은행 노동조합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그동안 조기합병 논의에 대해 반대의사를 표시하며 대화를 거부해 왔지만 이런 입장에서 선회했다.
김근용 노조위원장은 "대화에 앞서 선결조건들이 해결되지 않아 이에 대한 진정성 있는 행동을 요구했었다"면서도 "이런 조건이 해결되지 않았지만 노조가 통 큰 결단을 내렸고, 대화의 장 속에서 그런 것들을 모두 포함해 논의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2.17 합의서를 바탕으로 이를 뛰어넘는 조건과 요구들, 외환은행 조직과 한국 금융산업 발전을 위해 정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이 있으면 머리를 맞대고 얘기하자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외환 노조가 직접 지주에 이 같은 대화를 요청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어서 조기통합과 관련된 논의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시기와 관련해서는 대화 상대 등 문제 해결을 위한 최소한의 틀을 만들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한편 외환은행은 지난 27일 노조 총회 참석과 관련해 징계가 예정됐던 직원 898명 중 860명을 징계 대상에서 제외한 '직원징계 조치사항'을 발표했다.
이들 860명에게는 외환은행장 명의의 경고장 만이 발송됐고, 나머지 38명 중 21명은 견책 이하의 경징계를 내렸다. 나머지 17명은 정직·감봉 등 중징계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