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산업부, 조업일수 감소·무역갈등 심화로 2월 수출 증가 힘들 것

산업부, 주요 업종 수출 점검회의 개최



[파이낸셔렏일리=김유미 기자] 조업일수가 전년보다 줄어들고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이 심화되며 이달에는 수출 증가세를 유지하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2일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김영삼 무역투자실장 주재로 '주요업종 수출 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 11개 주요 업종 협회·단체와 코트라·무역보험공사 등 수출지원기관이 참석해 2월 수출동향을 점검하고 업종별 수출 진작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날 정부는 설 연휴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와 중국 춘절 효과 등으로 2월에는 대내외 수출여건이 녹록치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대외적으로는 보호무역주의에 따른 수입규제 조치 확대 및 미국·중국 간 무역갈등 심화도 우리 수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국채금리 및 리보(Libor) 급등, 주요국 주가 상승 등으로 다소 과열되면서, 국제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도 동시에 확대되는 추세다.


주요 업종별 협·단체도 2월 수출 증가세 유지가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13대 주력품목 중 조업일수 영향이 큰 자동차·차 부품·일반기계·섬유와 해외생산 비중이 확대되는 무선통신기기·가전의 수출 감소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정부는 수출 마케팅 예산의 60%를 상반기에 조기 투입하는 등  수출 하방리스크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정책 역량을 총동원하기로 했다.


고위급 해외순방과 연계해 상담회·세미나 등 신흥국 경제외교를 강화하고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등에 무역사절단을 집중 파견할 계획이다.


김 실장은 "정부와 수출 지원기관, 업계가 위기의식을 공유하고 업종별로 수출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수출 저해요인을 최대한 사전에 조치해 달라"고 당부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