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데일리=김유미 기자] 정부가 농업용수 부족이 우려되는 지역에 57억원을 긴급 지원했다. 가뭄 대책용 시설·장비에 대한 일제 점검·보수도 들어간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봄철 영농기 물 부족에 대비해 이 같은 농업용수 확보 대책을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최근 1년 간 전국 누적 강수량이 972㎜로 평년(1308㎜)의 74% 수준에 그치면서 농업용 저수지의 평균 저수율이 71%로 낮은 상황을 고려한 조처다.
특히 밀양, 울주, 경주 등 일부 시·군 지역의 평균 저수율은 40% 내외에 불과하다.
이에 정부는 남부 지방의 저수지 27개소에 송수호스 등 양수 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57억원(국비 43억원)을 지원했다.
각 시·군에서 보유하고 있는 지하수 공공관정 3만2000개와 양수기 3만3000대, 송수호스 4000㎞ 등 가뭄 대책용 시설·장비에 대한 일제 점검·보수도 진행한다.
물 절약을 위해 집단못자리를 설치하고 논과 배수로에 물 가두기를 하기로 했다. 가뭄 상습 지역의 논 농가에 쌀 대신 다른 작물을 재배하도록 유도도 한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9월부터 물 부족이 예상되는 저수지 46개소에 양수장과 관정·송수시설을 새로 설치해 926만t의 물을 채우는 작업을 벌여왔다. 지난 5일 현재 목표 대비 75%인 696만t이 확보된 상태다.
한준희 농식품부 농업기반과장은 "기후 변화로 매년 반복되는 가뭄에 잘 대처하려면 과학적 분석과 예측을 바탕으로 선제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영농기 전 용수를 비축해 농업인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