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MBC·EBS가 최근 5년간 10차례나 해킹 공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최원식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각 방송사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KBS·MBC·EBS가 2010년 이후 10차례나 사이버 해킹 피해를 입었다.
KBS·MBC·EBS는 사이버 해킹으로 방송제작 차질, 웹서버 감염, 데이터 파괴, 사이트 회원정보 유출 등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KBS와 MBC는 각 4차례, EBS는 2차례 해킹 피해를 입었다. KBS는 2013년 1차례, 2014년 2차례에 이어 올해 4월에도 1차례 해킹을 당했다. MBC는 2010년과 2012년 각각 1차례에 이어 2013년에는 2차례 해킹을 당했다. EBS는 2011년과 2012년 1차례씩 해킹을 당했다.
2013년 KBS와 MBC에 대한 해킹 사건은 '3.20 사이버테러' 일부다. 2013년 3월20일 2시10분께 KBS·MBC·YTN과 신한·제주은행, 농협의 PC와 전산망이 일제히 마비돼 방송 제작 업무에 차질을 빚었다. KAIST가 집계한 피해액은 8672억여원에 달했다.
각 방송사가 사이버 공격에 취약함에도 불구, 관련 보안 인력과 예산은 상당히 미흡했다. MBC의 사이버 보안 인력은 3명에 그쳐고 KBS 8명, EBS 13명이었다. 올해 MBC의 사이버 보안 예산도 2억5475만원으로, KBS 12억1100만원 EBS 3억3400만원 보다 적었다.
최 의원은 "사회경제 전반의 신경망 구실을 하는방송통신 인프라가 마비될 경우 국가 비상사태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며 "사장 연봉에도 못 미치는 적은 예산과 3명에 불과한 인력으로는 나날이 발전하는 사이버 해킹 공격을 막아내기에는 역부족"이라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