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30대 그룹을 제외한 중위권 그룹(31~100위)들의 올해 상반기 투자와 고용이 제자리걸음인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국내 31위부터 100위까지의 70대 중견 그룹 중 상반기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66개 그룹 208개 계열사의 투자 및 고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투자는 2조5104억 원, 총 고용 인원은 16만7130명으로 집계됐다.
투자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0.2% 증가해 사실상 정체됐고 고용 증가율은 2.0%에 그쳤다.
특히 투자는 올 상반기 31.5%나 늘린 30대 그룹과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투자 규모도 30대 그룹(38조7776억 원)보다 6.5% 수준에 그쳤다. 또 상반기 투자규모만 각 10조 원에 달하는 삼성과 현대차 그룹과 비교해도 25% 수준에 불과하다. 8조 원을 기록한 삼성전자와도 상당한 격차다.
70대 그룹 중 투자를 늘린 곳은 42곳이나 됐다. 이 중 100억 원 이상 늘린 곳은 전체의 4분의 1인 17곳이었다. 총 투자액이 1000억 원을 넘는 그룹은 이랜드(2240억 원), 코오롱(1607억 원), MBK파트너스(1475억 원), 한국타이어(1390억 원), 아모레퍼시픽(1269억 원), 삼라마이다스(1158억 원) 등 6곳이다.
24곳은 투자를 줄였다. 넥센 983억 원(60.8%), 보광 567억 원(51.5%), 대신 527억 원(72.0%), 네이버 486억 원(68.6%) 축소했다.
이어 대성(475억 원·53.1%), 한진중공업(303억 원·71.7%), 세아(204억 원·45.8%), 대상(153억 원·41.2%), 오뚜기(141억 원·33.3%), 한일시멘트(138억 원·55.2%), 한양(138억 원·96.1%), 경동원(137억 원·43.0%), 일진(115억 원·37.7%)이 100억 원 이상 투자를 줄였다.
유진(97억 원·71.7%), 농심(93억 원·19.5%), 동아쏘시오(72억 원·26.2%), 성우하이텍(54억 원·10.9%), 오리온(46억 원·15.5%), 현대산업개발(45억 원·55.1%), 메리츠금융(44억 원·28.9%), 대한전선(25억 원·40.2%), 희성(24억 원·45.4%), 선명(12억 원·29.5%), S&T(8억 원·4.8%) 등의 투자도 뒷걸음질 쳤다.
70대 그룹의 올 상반기 고용 증가율은 2.0%로, 0.8%를 늘린 30대 그룹보다 앞섰다. 하지만 총 고용 인원(16만7130명)은 30대 그룹(100만5603명)의 6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그룹 70곳을 다 합쳐도 국내 최대 기업인 삼성그룹(23만명)보다도 적고 현대차그룹(15만명)과 비슷한 수준이다.
그나마 31곳은 고용을 늘렸지만, 35곳은 줄였다.
하림은 팬오션을 인수한 덕에 70대 그룹 중 가장 많은 1969명(71.4%)늘었다. 아모레퍼시픽도 795명(16.4%) 증가했다. 합병 이슈가 있었던 다음카카오는 672명(42.2%), 네이버도 55명(26.0%) 늘었다.
이어 NHN엔터테인먼트(450명·49.7%), 사조(345명·16.0%), 애경(277명·20.7%), 성우하이텍(199명·14.4%), 코오롱(197명·2.5%), 녹십자(195명·10.7%), 한라(177명·3.2%), 오리온(140명·7.3%), 넥센(121명·2.3%), 이랜드(110명·1.7%), KISCO(105명·6.3%), 오뚜기(100명·3.0%) 등이 100명 이상 늘렸다.
반면 대성은 578명(21.5%)이나 줄였다. 일진도 567명(16.9%) 감원했다. 한솔(188명·4.3%), 웅진(178명·5.2%), S&T(164명·7.2%), 세아(144명·5.0%), SPC(140명·9.7%), 태영(119명·5.5%), 파라다이스(112명·7.5%) 등이 100명 이상 직원을 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