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 차관은 5일 관세청이 주최한 '2015 국제 원산지 콘퍼런스' 축사를 통해 "FTA라는 거대한 변화에 참여하는 것은 무한 경쟁시대에 국가의 생존전략이자 미래 국제사회에서 서로 윈-윈 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주 차관은 "FTA 체결의 혜택을 향유하기 위해서는 체결 국가 간 협력이 필요하다"며 "국가별 서로 다른 원산지 제도가 자칫 비관세장벽으로 작용하는 것을 막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말했다.
주 차관은 FTA를 통행료 없는 무역 고속도로에 비유했다.
그는 "중소형차라고 해서 고속도로 톨게이트 진입이 불가능하거나 어렵다면 FTA 효과는 반감될 것"이라며 "정부도 진입이 불가능하거나 통행이 원활하지 않은 곳이 없는지 살피겠다"고 덧붙였다.
주 차관은 또 "우리나라 최대 수출시장으로 국내총생산(GDP)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 베트남과의 FTA가 올해 안에 발효될 경우 1~2개월 내 관세가 두 번 인하되는 등 우리 수출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