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2일 취임 후 처음 가진 한·일 정상회담에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의 한국 가입 문제를 앞으로 긴밀히 논의해 나가기로 했다.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은 이날 낮 한·일 정상회담 경제성과 브리핑을 갖고 "양국은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등 아시아 경제 통합 뿐만 아니라 TPP에 있어서도 협력을 해나가기로 논의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세계 1·3위 경제대국인 미국과 일본이 주도한 다자간 FTA인 TPP에 참여하려면 일본을 비롯한 창립회원 12개국 모두의 동의가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이미 일본을 제외한 11개국과 어느 정도 사전 협의를 마친 상태인데 일본이 반대하면 참여가 불가능하다.
청와대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이날 회담에서 "우리나라가 TPP 참여 결정을 내릴 경우 한·중·일 FTA, RCEP 협상에서 견지해 온 양국 통상협력 관계를 TPP에서도 이어나가기를 기대한다"고 했으며 아베 총리는 "한국 측의 TPP 참여 검토 동향을 관심있게 보고 있다"며 관심을 표명했다.
이에 대해 안 수석은 "앞으로 TPP에서도 양국 간에 통상협력 관계를 이어가자는 박 대통령의 제안에 아베 총리가 협력하겠다고 얘기한 것"이라며 "한·중·일 FTA와 RCEP 등에서 한·일 간 협력도 강화해서 조속한 시일내에 타결하기로 다짐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양국은 경제협력을 논의할 고위급 협의체를 만들어 이번 정상회담의 경제적 성과와 후속조치를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 협의체는 우리나라 산업통상자원부와 일본 경제산업성이 구성 주체로 나선다.
안 수석은 고위급 협의체를 통해 "제3국 공동진출 뿐만 아니라 각종 메가 FTA 협력에 이르기까지 여러 경제협력 관련된 이슈들에 대해 앞으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후속 체계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국은 이날 회담을 계기로 한·일 기업 간 제3국 공동진출을 앞으로 정부 차원에서 지원하자는 데도 합의했다.
또 액화천연가스(LNG) 세계 1위 수입국인 일본과 2위 수입국인 한국 간에 협력을 강화해 판매자 위주로 경직된 계약 관행에서 벗어나서 LNG 수급 위기 등에 적극 대응키로 했다고 안 수석은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