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계에서 융복합 활성화를 위한 4대 전략이 제시됐다.
중소기업 창조경제확산위원회는 28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김광두 위원장을 비롯한 50여명의 위원이 참여한 가운데 제18차 전체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최근 정책적으로 집중 추진하고 있는 융복합 기술개발과 관련한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점검하고 실제 수행하고 있는 융복합 R&D 활동 분석을 통해 융복합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발제를 한 경기연구원의 배영임 연구위원은 중소기업 3대 미래유망기술 분야인 '개인서비스 로봇', '생체신호 측정', '물리보안' 산업을 분석해 발표했다.
배 연구위원은 중소기업 융복합 활성화를 위해 ▲신서비스 분야 R&D ▲사업화 R&D ▲기술이전·사업화 ▲규제·인증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는 신서비스분야 융복합 R&D지원을 통한 비즈니스 모델 창출과 관련해 "중소기업 융복합 기술개발지원사업을 기술개발 및 서비스와 비즈니스 모델 개발로 이원화해 시장친화적 R&D 지원으로 재편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또 "융복합기술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한 부처 간 협의체를 마련해 융복합 기술개발부터 사업화까지 일원화된 지원체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간 신서비스 분야 기술과 정보교류를 위한 플랫폼을 설치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융복합 기술의 사업화R&D지원을 통한 시장진출 활성화 방안과 관련해서는 융복합 기술개발 성공과제에 대한 제품화, 사업화R&D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의견을 내놨다.
우수 융복합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해서는 대학 및 출연연구기관 R&D수행 시 기술수요조사 등을 통해 시장 수요를 반영한 기술개발 유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융복합 기술·제품의 규제 및 인증제도의 개선분야에 대해서는 "융복합 신제품 적합성 인증 규격, 평가방법 및 기준 마련하는 한편 관련 법령 및 제도를 다양한 융복합 영역을 포괄하고 실무적인 이행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