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 전담 조직을 도입한 기업들이 지난 5년간 3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가 지난 9월30일부터 10월15일까지 지난해 동반성장지수 평가대상 대기업 93곳 중 80곳을 대상으로 벌인 '주요 대기업의 동반성장 추진현황 및 인식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동반성장 전담조직을 설치한 대기업은 지난 2010년 9월 정부의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추진대책 발표 이전만 해도 25곳에 불과했으나 지금은 78곳에 이른다.
임직원 인사평가 시 협력사와의 동반성장 실적을 반영한 기업은 추진 대책 이전에는 18곳에 달했으나 현재 76곳으로 4배 이상 증가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표준하도급계약서 사용기업은 30곳에서 74곳으로 2배 이상 늘었다.
협력사 대상 납품대금 지급기일은 평균 21.2일이었다. 이는 하도급법상 지급기일인 60일보다 한 달 이상 빠른 것이다.
계약 기간에 원자재 구매가격이 상승해 협력사가 납품단가 인상을 요구할 경우 요구 금액의 반영비율은 평균 86.9%로 나타났다.
협력사와의 동반성장에서 가장 중시하는 부문으로는 '협력사 기술경쟁력 강화'(43.8%)를 꼽았다. 그 뒤를 이어 '협력사와의 소통강화'(23.3%), '하도급 공정거래 문화정착'(19.2%), '협력사 경영개선'(13.7%) 등으로 나타났다.
협력사와의 동반성장을 추진할 때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기업현실에 맞지 않는 정부주도의 정책추진'(39.7%)으로 나타났다.
'자발적 동반성장 참여를 유인할만한 인센티브 부족'(23.3%),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보다 협력사들의 단기 자금지원과 애로 개선에 대한 요구가 큼'(17.8%), '중소기업 간(1차-2·3차간)동반성장이 미흡해 대기업의 지원효과 단절'(13.7%), '경쟁력 없는 기업(한계기업)에 대한 지원으로 지원효과 분산'(5.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배명한 협력센터장은 "2010년 정부의 동반성장 추진대책 발표 이후 주요 대기업들은 동반성장 추진체계 구축을 통한 내실 있는 동반성장을 위해 노력해 왔다"며 "대기업들의 동반성장 추진 의지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자발적으로 동반성장에 나설 수 있도록 인센티브는 늘리고, 규제는 줄이는 정책 보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