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슈퍼 호황이 이어지면서 반도체 전시회에 대한 인기도 뜨겁다.
오는 10월 17일부터 19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반도체대전(SEDEX)에 현재 부스 신청 마감률은 이미 90%선에 다다랐다. 역대 가장 빠른 속도다.
24일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반도체대전(SEDEX) 전시사무국에 따르면 올 반도체대전 참가업체는 원익, 동진쎄미켐, 실리콘웍스, 세메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등 매년 빠짐없이 참석하는 기업을 포함해 200개를 넘어섰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무는 "일찌감치 기업들이 참석을 확정짓는데는 국내외 반도체 산업의 호조세와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며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 신산업에는 모두 반도체가 존재한다는 기반성 때문에 반도체는 현재 이 시대의 가장 분주한 산업이 됐다"고 말했다.
반도체대전이 국내외 반도체 업계에서 명실상부한 전시회로 자리매김한 이유는 차별화된 정체성 때문이다.
반도체대전은 반도체 코리아의 양대 산맥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완성품 업체가 아닌 반도체 생산 업체로서 참가하는 유일의 전시다.
메모리 시장에서 각각 글로벌 1위와 3위를 차지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참여가 전시회 무게를 더해주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는 CES·MWC·CeBIT·IFA 등 전자기기 완성품 중심으로 참가하고 있어 반도체대전의 차별성에 무게를 싣는다.
또한 이 행사에는 반도체 산업 생태계 내의 모든 플레이어들이 참가한다.
반도체는 반도체 장비·재료·부분품과 반도체 칩 설계를 담당하는 '팹리스(fabless)', 칩 설계가 실제 생산 공정에 적합한지를 검증하는 '디자인하우스', 반도체 칩을 위탁생산하는 '파운드리(foundry)', 반도체 칩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점검하는 '패키징 테스트' 업체들의 작업 순으로 양산된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 관계자는 "전시기간 동안 70여개의 컨퍼런스와 세미나들이 개최된다"며 "올해부터 키노트 연설을 도입, 그 해의 전시를 아우르는 거시적 테마로 반도체대전의 포문을 열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올해는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 신산업의 대표격인 '스마트카'와 '5G' 분야 등의 키노트를 마련한다"며 "국내외 반도체 시장의 호조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올해 반도체대전에는 벤처캐피탈(VC), 엔젤투자자, 엑셀러레이터 등 투자자들의 방문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올해 반도체대전(SEDEX) 전시장 내 스타트업 특별관과 팹리스관을 한층 더 강화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