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의 한반도 사드(THAAD·미국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따른 보복 조치로 자국민에게 한국관광상품 판매를 금지한 15일 한국공항공사가 이에 따른 규제에 대처하기 위한 해법 모색에 발 벗고 나섰다.
15일 공사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13일까지 인천공항을 제외한 7개 국제공항(김포·김해·제주·청주·대구·무안·양양)의 중국노선 항공여객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5% 감소했다.
특히 제주, 청주, 무안공항은 중국노선 비중이 높아 한국여행 금지령이 길어질 경우 여객 감소 폭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장기화 될 경우를 대비해 위기대응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15일 오후 서울 강서구 본사 대회의실에서 긴급 대책회의를 열었다.
대책회의에서는 전세편 인센티브제 실시와 지방공항과 동남아, 러시아 등을 잇는 노선 다변화를 추진하는 등 외국인 개별여행객을 위한 현지 홍보 및 마케팅을 강화하기로 입을 모았다.
그간 추진해 온 대만노선 개설 등으로 김포공항 국제선을 다양화하고, 김해 등 기타 국제공항에서도 유럽, 일본, 동남아의 항공노선을 신·증설하기 위해 국토부와 협의해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추가적인 피해가 예상되는 공항 면세점과 LCC(저비용항공사) 등 항공업계 공동 대책 마련을 위해 오는 23일 공항 면세점 대표 대책회의, 29일 국적 저비용항공 사장단 회의를 각각 개최하기로 했다.
성일환 한국공항공사 사장은 이날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최근 중국노선 수요 위축이라는 위기를 항공노선 개발 및 여객유치 전략 검토의 전환점으로 삼아 다양한 국제노선 네트워크를 보유한 공항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