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석 해양수산부 장관은 7일 바닷모래 채취를 완전히 중단할 수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골재 채취를 완전 중단하지 못 하게 한 점은 유감이나, 최대한 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인 방향에서 협의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장관은 “바다모래 채취 완전 중단에는 심정적으로는 공감한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결의문 정신과 그 내용을 전부 동의한다. 하지만, 바다 골재 의존도가 높은 업계 여건을 감안하면 전면 중단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바닷 모래 채취를 최소화하기 위해 연내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바다 골재 최소화 방안을 올해 안에 마련하려고 한다”며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남해 배타적경제수역(EEZ) 골재 채취에 따른 피해영향에 대한 용역 조사, 골재 채취 전반에 대한 제도개선 용역, 골재 채취가 수산자원에 미치는 영향 조사 등 총 3가지다.
김 장관은 “3개 방안 중 남해 EEZ에서의 피해 영향 용역은 내달부터, 골재 채취 전반에 대한 제도개선 용역은 이달부터 시작된다”며 “해사 채취를 어느 정도까지 할 것인지, 선진국에서는 골재 채취로 어떤 영향을 받는지, 주요 국 골재 통계 등에 관해 올해 안에 조사를 착수해 바다골재 정책 방향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남해 어민들이 정부의 해사 채취 결정에 반발하는 것과 관련해 그는 "어업인들에게 건의하거나 제안할 내용이 있으면 찾아오라고 직·간접적으로 전달했다"며 "해수부와 국토교통부, 수자원공사, 해양환경관리공단, 어업인단체 등이 발족한 민관 협의체 중심으로 계속 논의하겠다"고 전했다.
이날 국회 김영춘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해 정연송 남해EEZ(배타적 경제수역)바닷모래채취대책위원장, 공노성 수협중앙회 대표이사 등 전국 어민대표단은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남해EEZ 골재 채취 단지 기간 연장을 규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