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對)이란 수출, 대형 플랜트 수주를 확대하기 위해 우리 기업들에 대해 약 9조원 규모의 금융지원에 나선다.
21일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의 부처합동 '이란시장 진출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제1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의결했다.
우선 수출입은행은 어음을 고정 이자율로 할인해 거래하는 '포페이팅' 등 방식과 병원·발전 등 분야의 금융지원을 위해 50억 유로(약 6조6000억원)의 기본대출약정을 체결하기로 했다.
이란 현지에서 대금지급 거절이나 연기 등으로 우리 기업들이 손해를 보지 않도록 위험부담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또 무역보험공사도 이란 재무부와 20억 달러(약 2조4000억원)의 기본금융약정을 체결하고, 현 90% 수준인 부보율(보험가액에 대한 보험가입금액의 비율)을 100%로 보장한도를 높일 예정이다.
이와 함께 달러화 외 통화결제시스템 도입,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지원대상국으로 이란 재편입, 국내 은행 이란 지점 신설 등도 함께 추진한다.
현지 조립생산(CKD) 방식 등 생산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이란 자동차 제조사와 현지 조립생산을 위한 합작기업 설립, 한국형 자동차 모델개발을 종합상사가 중심이 돼 추진하고, 농기계나 의료기기 등은 CKD 유망분야별 상담회 및 전략 포럼을 개최하여 시장진출 기회를 창출하기로 했다.
또 이란 해사 항만청과 항만개발, 해운투자 설명회 등과 같은 해운·항만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하고, 보건정책·병원설계·의료시스템 등과 관련한 양해각서(MOU) 체결, 테헤란 의대 건설 프로젝트 등 한국형 병원 수출 수출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정보통신기술(ICT) 협력위원회 재개, 할랄식품시장 진출지원, 이란문화원 신설, 세관상호지원협정 등 협력분야도 다각화할 계획이다.
이란 시장 진출을 위한 첫걸음으로 내달 말 이란 테헤란에서 우리 종합상사, 건설, 가전·IT, 철강 분야 기업이 참여하는 대규모 경제사절단과 함께 '한·이란 경제공동위원회'도 개최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단기적으로 성과 창출이 가능한 유망 품목별 진출 여건을 분석하고, 위험요인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중심으로 대책을 마련했다"며 "우리는 전자제품과 화장품 등 소비재와 산업설비 수출 활성화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에 따르면 올해 이란 수입 증가율 전망치는 작년보다 7.1%에서 15.5%로 8.4%포인트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며 2018년까지 두자릿수의 성장률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또 이란은 경제제재 해제로 해외에 묶여 있던 동결 자산 1070억 달러 중 약 290억 달러가 즉시 사용가능할 것으로 전망 돼 에너지 플랜트, 사회 인프라 발주 등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