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전국 13개 지역에서 스마트그리드(지능형 전력망) 확산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내년 1월 중으로 컨소시엄별 세부사업 계획을 확정하고, 상반기에는 수용가와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사업 설명회와 주요 인프라 보급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22일 밝혔다.
산업부는 이날 사업에 참여하는 한국전력, SK텔레콤, KT 등 8개 컨소시엄 주관사, 지방자치단체,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 등과 스마트그리드 생태계 조성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스마트그리드는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것을 말한다.
공급자와 수요자간 양방향 실시간 전력 사용패턴 분석 등을 통해 전력 소비를 효율화하고 주택, 빌딩 등에서 태양광 등을 통해 자체 생산한 전력을 판매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정부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향후 3년간 총 5668억원(국비 660억원)을 투입하는 에너지 프로슈머, 저탄소 발전, 전기자동차, 친환경 공정 등 에너지신산업 4대 분야의 핵심이다.
산업부는 내년부터 3년간 서울·부산·대구·인천·충남·경북·전북·제주·광산구(광주)·창원·강릉·동해·남양주 등 전국 13개 지역을 거점으로 스마트계량기(AMI),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인프라 보급을 통한 스마트그리드 모델 구축에 나선다.
이어 민간을 중심으로 스마트그리드를 전국으로 확산(2019~2025년)한 뒤 2030년까지 에너지 프로슈머(소비자 전력 생산)를 활성화하고, 소비자 맞춤형 전력 공급시스템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산업부는 이날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참여 업체, 지자체 등과 정기적인 사업추진 현황 점검과 발전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스마트그리드 확산정책 협의회'를 운영하기로 결정했다.
또 소규모 전력이나 남는 전력을 팔 수 있는 에너지프로슈머 시장 개설, 계절별·시간대별 차등 요금제 확대 적용 등 새로운 시장 창출을 이룰 수 있는 제도 개선도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