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금융위원장은 17일 앞으로 금리가 오르더라도 가계부채에 대한 총량 규제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임 위원장은 이날 경기도 고양시 제30기계화보병사단에서 기자들과 만나 "기본적인 가계부채 접근 전략은 상환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갚아가자는 것"이라며 "향후에 금리가 올라도 총량 규제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RB)는 지난 16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약 7년 만에 기존 0.00~0.25%에서 0.25~0.50%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금리를 점진적으로 인상, 2018년까지 최대 3.5% 수준으로 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집단대출에 관해서는 은행별 관리를 하고 있기 때문에 규제하지 않겠다는 기존 방침을 재차 밝혔다.
임 워원장은 "집단대출은 은행별로 리스크 관리를 잘 하고 있다"며 "부동산 경기와도 연관 있어 급격하게 규제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고려할 때 지금은 규제할 때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미국의 금리 인상이 한국 시장에 단기적으로 미칠 영향은 크지 않다고 봤다.
임 위원장은 "예상했던 범위 내에서 시장 상황도 나쁘지 않았다"면서 "금리 인상이 중대한 일이기는 하지만 충분히 (충격을) 흡수할 만큼 예측하고 있었고, 앞으로도 감당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신흥국에서의 자본 유출과 유가 영향에 따른 세계 경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은 내부적으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우리은행 매각과 관련, 임 위원장은 "조만간 결론 날 것 같지는 않다"며 "민영화 전제 조건인 가치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STX 채권단에서 빠져나오는 등 건전성을 높이고 있다"며 "예금보험공사 쪽에서도 매각 구조를 짜고, 잠재적인 매수자를 찾는 등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 위원장은 2015년을 금융개혁을 위해 정신없이 지나간 한 해로 소회했다.
그는 "올해 금융감독원과의 협조 관계가 아주 원활했기 때문에 금융개혁 성과가 있었다"며 "금융회사들의 개혁에 대한 신뢰가 커져 내년엔 더 큰 성과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날 임 위원장은 하영구 은행연합회장, 김근수 여신협회장 등과 함께 제30기계화보병사단을 방문해 장병들을 위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