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은 2일 "우수한 기업에게는 기회를 주고 부실 기업은 퇴출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이날 서울 서초구 JW메리어트호텔에서 열린 취입 후 첫 건설업계와의 조찬 간담회에서 "글로벌 스탠다드와 다르게 운영 중인 국내 제도와 관행을 근본적으로 쇄신함으로써 건설산업이 새롭게 태어나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입찰제도와 보증제도의 변별력을 높여 시장기능을 강화하고 우수한 기업에게는 기회를 주고 부실기업은 퇴출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며 "고질적인 원·하도급간 불공정 뿐 아니라 발주기관, 보증기관의 불공정 관행까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확대하고 사업의 수익성도 높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그동안 주로 수행해 온 단순 도급형 사업에서 파이낸싱을 통한 투자개발형 사업으로 전환하고 고부가가치 영역인 사업 발굴·기획, 개념설계 프로젝트 관리 등에 대한 역량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건설산업의 현재 상황에 대해서는 "그동안 국가 경제발전에 큰 역할을 해왔지만 지금은 커다란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대내적으로는 사회간접자본(SOC) 확충과 도시화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국내시장의 양적 확대를 기대하기 어렵다"며 "대외적으로는 저유가로 주력 시장인 중동 건설시장의 위축이 우려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강 장관은 "이런 대내외 환경변화로 1991년 GDP의 23%에 달했던 건설투자가 이제는 14% 수준에 그치고 있다"며 "해외건설도 매출 세계 5위, 누적 수주액 7천억 불 달성 등 양적인 부분에서는 괄목할 만한 성과가 있었지만 수익성 등 부가가치 측면에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그는 "산업 경쟁력 확보의 핵심인 인적자본 측면에서도 해외진출을 위한 고급 인력은 부족하고 일반 기능인력은 외국인에게 자리를 내주고 있다"며 "지금의 위기는 단순히 경기 싸이클상 문제라기보다는 경제와 산업의 근본적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