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들이 인도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시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Make in India 1년, 글로벌 기업들의 대인도 투자 확대' 보고서를 통해 "인도의 8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6.4%로 3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며 "제조업 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6.9%나 증가했다"고 밝혔다.
외국인의 인도 투자금액은 2014년 10월부터 2015년 6월까지 257억50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5.9% 증가한 금액이다.
IMF는 10월 발표한 세계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인도의 2016년 경제성장률은 7.5%로 중국(6.3%)을 훨씬 상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도는 지난해 9월25일부터 시행된 'Make in India' 정책을 통해 제조업의 비중을 15%에서 2022년까지 25%로 확대하는 한편 1억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자동차·부품, 항공, 생명공학, 화학, 건설, 방위산업, 전기·기계, 전자, IT·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등 25개 분야를 중점적으로 육성한다.
글로벌 기업들은 자동차, 전기·전자·통신, 식품 가공, 사무용품, 의류, 정수기, 재생 에너지, 가구유통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도 투자를 확대 중이다.
자동차 업체인 독일 메르세데스-벤츠를 비롯해 미국 GM, 일본 혼다와 이스즈 등은 생산 확대를 위해 공장 확장을 발표했다. 미국 포드는 하반기에 완공될 R&D센터에서 신규 모델을 디자인할 계획이다.
전기·전자·통신 분야에서는 스웨덴 에릭슨, 대만 폭스콘과 에이수스, 중국의 지오니 등이 현지 공장을 확장할 예정이다. 독일의 BSH는 공장 확장 및 이노베이션센터 설립뿐 아니라 매장을 현재 30개에서 향후 200개로 확대하는 방안으 추진중이다.
송송이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 일본을 비롯해 글로벌 기업들의 대인도 투자가 전격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의 대인도 투자액은 오히려 전년 대비 감소했다"며 "국내 기업들도 더 늦기 전에 합작투자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인도 진출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