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까다로운 검역에 막혀 있던 한국 쌀을 비롯해 삼계탕과 김치의 대중(對中) 수출길이 열렸다.
하지만 중국 사람들의 입맛과, 가격 차이 등 극복해야 할 과제가 많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한·중 정상회담에서 한국산 김치의 중국 수출 문제가 논의됐다.
줄어드는 식품 수출에 새로운 물꼬를 틀 수 있는 시장이 열려 기대감이 커지는 반면 족쇄가 된 규제를 완화해야한다는 입장도 제기되고 있다.
국산 김치는 2010년 중국에 수출됐지만 중국측이 위생 기준(100g당 대장균군 30마리 이하)을 엄격하게 적용하며 수출이 완전히 끊겼다.
중국식 절임배추 '파오차이'(泡菜)의 위생 기준을 김치에 적용해왔다. 생채소와 양념으로 만들어 발효하는 한국산 김치가 이러한 중국 위생기준을 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중국은 지난 2월 김치와 같은 비멸균 발효제품에 기존 기준을 적용하지 않는 새로운 고시안을 만들었지만 아직 발효되지 않았다. 파오차이는 소금·고추 등을 넣은 양념을 한 번 끓여 사용하는데다 여기에 배추 등을 넣고 밀봉해 숙성하므로 대장균군 수가 적을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해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는 박근혜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빠른시일 내 향후 절차를 진행해 (한국산) 김치 수출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A식품업계 관계자는 "중국은 올해 초 한국산 김치 수입을 막았던 위생기준을 개정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이 검역 조건에도 합의했다"면서도 "그러나 중국 내 고시 등 행정절차가 마무리되지 않아 아직 김치를 중국에 수출할 수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현재 중국에서 절임채소인 '파오차이'는 판매해왔으나 규제에 김치를 수출하지 못했던 상황이라는 게 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B업계 관계자는 "김치는 배추를 소금에 절이고 각종 양념을 넣어 저온 발효시키기 때문에 대장균군이 생기지만 젖산에 의해 다 죽는다"며 "중국내 검역을 통과해도 지방정부 검역을 거쳐야 하는 만큼 이 기준을 통과하기란 사실상 힘들다"고 전했다.
또다른 업계 관계자는 "2~3년 전부터 정상회담마다 반복돼왔던 얘기로 규제가 안풀릴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C업계 관계자는 "김치의 유통기한이 한달 정도에 불과해 통관절차가 짧은 '신선 통관' 절차로 분류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일반통관은 7~10일정도 절차가 걸리고 한국에서 중국까지 이동하는데 이틀 걸리기 때문에 10일 걸린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고시 발효만 이뤄지면 연내 김치 수출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김치의 중국 수출과 관련 "날짜를 단언할 수는 없지만 리커창 중국 총리가 (향후 절차를)빨리 한다고 했으니 이르면 연내에 가능하지 않을까 본다"면서 "우리는 연내나 내년 초에 가능할 것을 염두에 주고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