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출 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중국 전자상거래 및 내수시장 진출을 본격 추진키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수출 활성화 대책을 내놓았다. 이번 대책은 중국을 비롯해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국가들을 겨냥한 맞춤형 마케팅 전개에 주안점을 뒀다.
중국 전자상거래·내수시장 진출과 관련해 정부는 향후 중소·중견기업의 온라인 몰 구축지원을 확대하고, 대중 온라인 판매 전문기업-내수기업간 매칭, 알리바바·징둥 등 주요 전자상거래 기업과의 협력 등을 추진키로 했다.
또 화장품, 건강보조식품 등 대중 수출 유망품목에 대한 수출상담회, 중국 현지 대형 유통망과 연계한 판촉전 및 상담회 등을 상반기에 집중 실시할 방침이다.
미국·아세안·중동 등 수출 유망지역에 대한 마케팅 지원도 강화된다.
미국의 경우, 개인소비 증대와 시설투자 확대에 대응해 대형 온·오프라인 쇼핑몰에 소비재 공급채널을 구축하고, 글로벌기업과 협력을 통해 현지 부품 소싱시장 진출도 지원할 예정이다.
아세안 지역의 경우, 한류 확산을 활용해 한류스타와 수출기업이 연계해 신제품을 공동 제작하는 마케팅 플랫폼을 도입하는 한편, 국가별 한류지수·유망품목 정보 등을 담은 한류활용지도를 제작·보급할 계획이다.
중동·중남미 등 신흥시장의 경우, 시장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상담회를 개최하고 이란 제재 완화에 대비해 우리 기업의 진출 확대 지원방안을 선제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비관세장벽 대응 등 중소·중견기업의 수출 지원도 강화될 전망이다.
정부는 관세 장벽 대응을 위해 중국·아세안 등에 현지대응반을 구축하고, 해외규격인증획득 지원 및 해외지사 대행사업 확대 등 현장지원을 강화한다는 방침을 내놨다.
내수기업의 수출 기업화를 위한 방안도 마련된다. 정부는 향후 무역전문가 매칭을 통한 직접수출 지원, 전문무역상사 활성화를 통한 간접수출 확대 등을 본격 추진키로 했다.
중소·중견기업의 FTA 활용률 제고를 위해서는 FTA 미활용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각 협정별 맞춤형 컨설팅을 실시하고, 주요 10대 산업단지 등에 FTA 전문가를 파견해 FTA 활용을 지원키로 했다.
이외에도 수출기업에 대한 무역보험 지원도 확대될 전망이다.
정부는 올해 중소·중견기업에 총 43조5000억원 규모의 무역보험을 지원하고, 수출기업 대상 무역보험 홍보활동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국제 신용·금융기관과의 공조를 통해 해외 프로젝트 수주지원을 강화하고 쿠바·이란 등 국제사회 제재완화 국가 대상 무역보험 지원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윤상직 장관은 "이번 대책은 최근 유가하락의 영향으로 수출입이 모두 3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는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단기 효과가 있는 마케팅 활동과 무역보험 지원에 역점을 뒀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최근 현지공장 설립 등 해외진출이 많았던 휴대폰·자동차 업종이 국내 공장에서의 생산 확대를 통해 수출부진 타개에 힘을 보태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지난 3월 수출은 469억88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 감소했다. 올해 들어 수출액 감소 폭은 ▲1월 0.7% ▲2월 3.4% 등으로 갈수록 확대되는 양상이다.
이 같은 수출액 감소는 국제 유가 하락으로 인해 우리나라 수출 주력 상품인 석유화학·철강·가전 제품 가격의 하락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러시아 등이 저유가 여파로 경기 침체를 겪고 있는 점도 우리 수출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이 러시아로 수출하는 물량이 줄어들면서 우리나라가 EU에 수출하는 물량도 감소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